대한상의, 3차 지역경제포럼
충청권 성장률, 수도권 이어 전국 2위
수도권 인접해 '신산업 생산기지' 담당
기술인력 부족 기업 본사 없는 '반쪽 산업생태계'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새정부, 신산업 맞춤형 정책 지원·규제 완화 해달라"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충청지역이 반도체·배터리 등 신산업 분야 생산을 담당하면서 양적 성장은 이뤘지만, 수도권 의존도가 큰 '반쪽 산업생태계'가 여전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지역별 현안을 점검하고 대응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대전·충남북 지역을 대상으로 '제3차 지역경제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의 충청지역 GRDP(지역내총생산) 연평균 성장률은 3.9%로 전국 6개 권역중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집중된 반도체·배터리 등 신산업의 생산기지 역할을 인접지역인 충청권이 맡으면서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마련된 것이다.
이 같은 충청지역의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산업생태계는 열악해 수도권을 따라잡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신산업 생산현장의 기술 인력이 턱없이 부족할 뿐 아니라, 지역 신산업을 실질적으로 이끌어갈 기업 본사나 연구개발(R&D)센터도 전무한 실정이라는 것이다.
실제 대한상의가 반도체·배터리·바이오 분야에서 충청권에 생산 공장을 둔 8개 주요기업의 실태를 파악해 보니 본사까지 충청권에 둔 기업은 없었다. R&D센터의 경우도 8개 기업의 총 10개 R&D센터 중 충청권에 위치한 것은 2개에 불과했다.
신산업 분야 기술인력도 부족해 지역기업의 어려움도 큰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산업기술인력수급실태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기술인력 부족인원이 충청권의 경우 5935명으로 수도권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포럼에 참석해 충청지역 인구실태를 발표한 차미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충청지역이 수도권과 인접해 청년인구 유출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었으나, 최근 지역내 신산업 분야 일자리가 늘면서 기술인력 부족은 심각한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최우선 과제는 '중원 신산업벨트 구축'
충청권 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생산 중심의 불완전한 산업생태계를 온전히 복원하는게 최우선 과제라는 지적이 많았다. 그런 만큼‘중원 신산업벨트’조성을 공약으로 제시하고 출범한 새정부에 대한 강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중원 신산업벨트란 윤석열 대통령의 지역발전 공약중 하나다. 과학기술과 신산업의 중심지인 대전?충남북을 중심으로 강원권과 호남권을 연계해 미래산업과 스타트업 벨트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날 포럼에서 '충청권 특화산업 현황과 전망'을 발표한 김양중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은 "과학기술의 요람인 충청지역에 최근 반도체·배터리·바이오 공장까지 들어서면서 신산업 거점으로서의 국가적 기대감이 커졌지만 상호간 유기적 연계는 아직 부족한 편"이라고 지적하고 "정부가 충청지역에 약속한 중원 신산업벨트 공약을 조속히 구체화하고 추진에 속도를 내 주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화력발전·석유화학단지 등이 입지한 충청권으로서는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도 중요한 과제다. 2019년 기준 충청권의 탄소배출량은 1억9000만t 규모로 전국 6개 권역중 가장 많은 배출량을 기록하고 있다.
김양중 연구위원은 "탄소중립은 국제사회의 요구이자 미래세대를 위한 약속인 만큼 반드시 추진해야 할 과제이지만 산업계 입장에서는 실천에 어려움이 많은 게 사실"이라며 "새정부는 탄소중립을 실천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그에 부합하는 과감한 정책지원을 해줘야한다"고 강조했다.
"새정부, 신산업 맞춤형 정책 지원과 규제 완화해 달라"
새 정부가 충청지역 산업 환경과 기업 여건 개선에 적극 나서 달라는 요구도 많았다.
대전지역 경제계를 대표해 참석한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은 "충청지역이 신산업 거점지역으로 거듭나려면 거기에 부합하는 맞춤형 정책지원과 규제완화가 필요하다"며 "조만간 시행될 국가첨단산업특별법에 기술인력 부족문제 해소방안과 대규모 시설투자에 대한 세제혜택 등을 폭넓게 담아 달라"고 정부에 당부했다.
장석인 한국공학대 교수는 기업 유치를 위한 지역 인프라 개선을 당부했다. 장 교수는 "충청권은 생산 인프라가 갖춰져 있어 여타 비수도권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혁신 여건을 갖추고 있다”며 "새 정부가 추진하려는 지역주도 기회발전특구(ODZ) 프로젝트에서 국책연구단지 등 충청권이 보유한 이점을 최대한 살려 산학연이 유기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한다"고 말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충청권은 지리적 요충지이자 산업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산업을 아우르고 있지만, 또 그만큼 특화 산업으로 내세울 만한 것이 없는 것도 현실"이라며 "이번에 새정부가 공약한 중원 신산업벨트 구상에 지자체와 지역 산업계도 적극 참여해 명실상부한 충청권 브랜드로 키워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는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경제정책관, 김명수 대전시 과학부시장,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정원춘 충남북부상의 상근부회장, 이경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평가자문단장, 김현용 자동차연구원 본부장, 임용훈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본부장, 박은일 대덕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대전·충남·충북을 대상으로 한 이번 3차 지역경제포럼에 이어, 4차 포럼은 제주지역에서 진행되며 6월 말에 개최될 예정이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