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제주 등 12개 지자체,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사업지 선정

시계아이콘01분 1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교통, 에너지 등 도시 인프라에 IT 기술 결합
2022년까지 전국 80개 지자체에 보급 목표

서울·제주 등 12개 지자체,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사업지 선정
AD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국토교통부는 방범·교통 등 단절된 각종 정보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활용하고, 스마트 도시 안전망을 구축하는 '2018년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사업' 대상지로 서울시·제주도 등 12개 지자체를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선정된 지자체는 서울시, 제주도, 용인시, 남양주시, 청주시, 서산시, 나주시, 포항시, 경산시, 고창군, 마포구, 서초구 등이다. 지난 1월부터 실시한 공모에는 전국 33개 지자체가 참여했으며 선정된 지자체는 사업비 12억 원 중 6억 원을 각각 지원받게 된다.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은 교통·환경·에너지·수자원 등 각종 도시 인프라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연계·활용하는데 핵심 역할을 하는 기반 소프트웨어로 고가의 외국산 플랫폼 수입을 대체하기 위한 국가 연구·개발(R&D)사업이다. 방범, 방재, 교통 등 분야별 정보시스템을 연계·활용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총 100억원을 들여 구축했다. 통합 플랫폼이 지자체에 적용되면 방범·방재·교통 등 도시의 주요 정보가 유기적으로 연계돼 도시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토부가 경찰청·소방청 등과 협력해 2016년부터 개발한 5대 안전망 연계 서비스도 함께 보급된다. 5대 연계 서비스는 ▲112센터 긴급영상 지원 ▲112 긴급출동 지원 ▲119 긴급출동 지원 ▲긴급재난상황 지원 ▲사회적 약자(어린이, 치매노인 등) 지원 등이다.


이는 112, 119 등 국가 안전재난 체계가 개별 운용돼 긴급 상황 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한 골든타임 확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구축하는 사업이다. 실제 상황 발생 시 핵심 수단인 폐쇄회로 텔레비전(공공기관 85만 대)는 대부분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음에도 경찰·소방 당국과의 협업체계가 없어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지자체와 112, 119, 사회적 약자(어린이, 치매인 등) 보호를 위한 정보시스템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으로 연계되면 긴급 상황 시 골든타임 단축 등 국민안전 서비스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국토부는 2022년까지 전국 80개 지자체에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보급해 4차 산업혁명의 기반 조성과 도시 안전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서울시 등 광역 대도시와 인구가 적은 소규모 도시는 과기정통부, 한국정보화진흥원 등과 협력해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 3~4개의 지자체를 묶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적용하는 기반구축 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정경훈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향후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활용한 연결성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차, 드론, 스마트홈 등이 도시 내에서 원활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지능화된 도시기반 조성을 서두르겠다"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