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 달 새 70% 하락 '코인 일장춘몽'…붕괴 직전 VS 잠재력 여전(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4초

1월5일 2885만원→2월5일 876만원… 한달 새 폭락
"대폭락 직전 금융경색 단계" VS "잠재력 여전… 제2의 금 될 것"

한 달 새 70% 하락 '코인 일장춘몽'…붕괴 직전 VS 잠재력 여전(종합) 가상통화의 대장 격인 비트코인 가격이 9백만원대로 떨어진 지난 2일 서울 중구 다동의 한 가상통화거래소에 설치된 시세판을 한 시민이 바라보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AD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대표 가상통화(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이달 초 '검은 금요일' 사태로 한 달 만에 70%나 '폭락'하는 등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가상통화 시장이 대폭락 직전인 '금융경색' 단계에 도달했다는 경고와 여전히 잠재력이 남아있으며 '제2의 금'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1월5일 2885만원→2월5일 876만원… 한 달만에 70% '폭락'=5일 오전 9시30분 현재 국내 가상통화 거래소 업비트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904만원을 가리키고 있다. 지난 2일 783만원으로 '대폭락'한 뒤 이틀 새 다시 1005만원까지 회복했지만 이내 900만원 초반대로 떨어진 것이다.


이날 새벽 4시 경에는 876만원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정확히 한 달 전인 지난달 5일 최고가 2885만원(업비트 기준) 대비 70%가량 떨어진 수준이다.

한 달 새 70% 하락 '코인 일장춘몽'…붕괴 직전 VS 잠재력 여전(종합) 출처=업비트 홈페이지 캡쳐


불과 3일 만에 '롤러코스터'와 같은 가격 급락과 급등이 반복되자 가상통화 투자자들은 혼란에 휩싸였다. 국내 가상통화 투자자 커뮤니티에는 갈팡질팡하는 투자자들의 게시글이 이어지고 있다. 한 투자자는 "한 치 앞도 모른 채 결국 개인 투자자들은 손해를 보고 있는 지금 상황을 보면 코인판은 도박도 아니고 무조건 피해를 볼 수 밖에 없는 다단계 수준인 것 같다"고 말했다.


비트코인과 함께 대표 코인으로 꼽히는 이더리움, 리플의 가격도 같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 2일 업비트 기준 74만원대까지 폭락했지만 주말 새 104만원까지 치솟았다. 현재는 다시 하락세로 접어들어 91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리플 역시 '검은 금요일' 당시 660원까지 떨어진 뒤 주말 새 1035원으로 반등했다. 이내 다시 떨어져 이날 오전 9시30분 기준 900원을 가리키고 있다.


◆기로에 선 비트코인…거품 끝물 VS 잠재력 남았다=일각에서는 '민스키 모먼트(Minsky Moment)'가 도래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의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의 이름을 딴 민스키 모먼트는 과도한 부채로 부풀려진 경기 호황이 끝나며 자산가치가 폭락, 금융위기가 시작되는 시기를 뜻한다. 전일 고가(1149만원·업비트 기준) 대비 무려 32%가 급락했던 지난 2일의 '검은 금요일' 사태가 가상통화의 막연한 성장 가능성에 불어닥친 투기 광풍이 꺼지기 시작하는 변곡점이라는 분석이다.


민스키의 투자 거품 생성·붕괴에 관한 신용 사이클 모델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거품은 대체, 호황, 도취, 금융경색, 대폭락 등 다섯 단계로 구성된다. 한국금융연구원의 금융 브리프에 게재된 '최근 비트코인 가격급락 현상과 가상통화 생태계'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이 큰 폭의 조정을 겪고 있으며 사이클상 대폭락 직전인 금융경색 단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투자자문회사 콘보이 인베스트먼트의 창업자 하워드 왕, 영국 가상화폐 헤지펀드 프라임 팩터 캐피털의 공동창업자 애덤 그림슬리 등 전문가들도 금융경색 단계에 상당히 근접했다고 전망했다.


반면 5일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의 2018년 1분기 보고서에서는 비트코인의 잠재성을 여전히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알렉산데르 베렌첸 스위스 바젤대 교수와 파비안 샤르 교수는 보고서에 실린 '암호화 결제수단 세계 개론'를 통해 "자산으로서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반의 대안 통화를 무시해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일부 한계에도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잠재력이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이어 "비트코인 등의 암호화 결제수단은 흥미로운 투자 대상이자 포트폴리오 분산 수단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시간이 흐르면 비트코인 자체가 금처럼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