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트럼프. 유엔에 불만 터뜨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안보리 결의보다 더 강력한 대북 제재 압박할 듯

트럼프. 유엔에 불만 터뜨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 유엔본부에서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뉴욕 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데뷔 무대부터 유엔(UN)에 대한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2차 유엔총회 유엔 개혁 관련고위급회의에 참석, 기조 발언에 나섰다.
취임이후 처음으로 유엔 본부 공식 행사에 참석한 트럼프 대통령은 처음부터 유엔의 개혁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유엔은 관료주의와 잘못된 관리로 충분한 능력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유엔은 작동하지 않는 과거의 방식으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리(미국)는 유엔에 기여한 것에 비해 결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며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냈다. 이어 “미국은 공평한 분담금보다 더 많은 돈을 내고 있다”면서 “어떤 유엔 회원국도 불균형한 분담금을 부담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리가 개혁을 이뤄내면 유엔은 평화를 위한 더욱 강력하고 효율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은 이러한 유엔의 노력에 파트너가 될 것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유엔 평화유지군의 예산 73억 달러중 28.5%를, 기본 예산 54억 달러 중 22.0%를 각각 책임지고 있는 등 최대 분담금을 내고 있다. 그동안 트럼프 정부는 유엔 분담금 대폭 삭감을 공언해왔고 실제로 올해 평화유지군 분담금을 6억 달러 가량 줄이기도 했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미국이 홀로 막대한 분담금을 떠안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과 함께 미국 정부의 요구가 유엔 무대에서 제대로 관철되지 못하고 제동이 걸리고 있는 것에 대한 평소의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함께 유엔이 실질적인 국제기구로 거듭나기 위한 개혁을 미국이 강력히 요구할 것임을 시사한 셈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원유 공급 차단과 같은 대북 제재 조치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거부권을 가진 중국 등의 반대로 번번히 제동이 걸린 것에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정부는 19일부터 시작되는 총회 기조연설과 각국 정상과의 다양한 회동을 통해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에 대한 철저한 이행 동참은 물론 이보다 더 강력한 제재 필요성도 역설할 것으로 전망된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의 제널드 세이브 워싱턴 지국장도 “트럼프 정부는 유엔 총회 기간 안보리 대북 제재보다 더 강력한 방안을 제시하며 협력을 촉구할 것”이라면서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해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 방안도 언급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단독 전화통화를 갖고 핵과 미사일 도발을 이어가는 북한에 대해 최대압박을 가하기로 했다고 백악관이 전했다.


백악관은 “북한의 지속되는 국제사회에 대한 도발과 동북아의 안정을 해치는 행위에 대해 두 정상이 논의했다”면서 “두 정상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엄격한 이행을 통해 최대한의 대북 압력을 가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시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번 유엔 총회에 불참한다.




뉴욕 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