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년 3월' 인천공항, 면세점 엑소더스 시작될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임대차 계약 따라 2년6개월 운영 뒤 계약해지 가능
주요 사업자 대부분 2분기 적자…"못 버텨"

'내년 3월' 인천공항, 면세점 엑소더스 시작될까 인천국제공항
AD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내년 3월, 인천국제공항에서 면세 사업자들이 이탈하는 '엑소더스'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사업자가 적자의 늪에 빠진 가운데, 업계 최대 악재인 중국정부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은 철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고액의 임대료를 버티기 힘들다는 업계와 기존 계약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는 인천공항공사의 입장은 여전히 팽팽하게 맞서는 분위기다.

3일 인천국제공항 제 3기 면세사업자로 입점한 업체들이 공사 측과 체결한 '상업시설 임대차 표준계약'에 따르면 각 업체들은 특별한 사유가 없더라도 계약기간의 절반 이상이 경과된 후에 계약 해지를 요청할 수 있다. 2015년 9월을 시작으로 1년차, 2016년 9월부터 2년차가 경과됐으며, 지난 1일부터 각 3기 사업자들은 3년차 운영을 시작했다. 내년 2월까지 운영을 마치면 전체 계약기간의 절반(2년6개월)을 채우게 되고, 이 시기부터는 계약 해지에 나설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마지막 기(5년차) 월 최소보장액 3개월분과 부가가치세에 상당하는 금액을 공항공사에 납부해야 한다. 계약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퇴점하는 데 따른 일종의 '위약금' 개념이다. 롯데면세점의 경우 이 금액이 약 30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3월' 인천공항, 면세점 엑소더스 시작될까 인천국제공항/사진=아시아경제DB

표준계약에는 '특약'을 통해 면세점 사업자들의 임대료 조정 요청이 사실상 어렵도록 한 부분도 발견된다. 특약 제 1조1에 따르면 '계약상대자(면세업체)는 항공수요의 감소, 대한민국 정부의 항공정책의 변경 등과 같은 외부 요인으로 발생하는 영업환경의 변화와 그에 따른 매출 감소를 사유로 임대료 및 임대보증금의 조정, 사업대상시설에 대한 부분(계약의 일부 해지) 등을 요구할 수 없다.


현재 인천공항에서 매장을 운영하는 사업자들은 호텔신라(신라면세점)를 제외하고 모두 지난 2분기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상위 사업자인 롯데호텔(롯데면세점)과 신세계디에프(신세계면세점)도 각각 298억원, 43억원의 적자를 냈다. 과거 수천억에서 수백억원에 달하는 임대료를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시내면세점 운영을 통해 보전했지만, 지난 3월 이후 중국인 고객이 급감하며 이 마저도 불가능해진 것이다.


향후 임대료 납부 잔액을 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롯데면세점의 경우 지난 1~2년차에 각각 5000억원, 5100억원 수준의 연 임대료를 납부했지만 운영 3년차(2017년 9월1일~2018년 8월31일)부터 7700억원으로 금액이 급증한다. 이 임대료는 4년차에는 1조1600억원, 5년차에는 1조1800억원으로 뛴다. 1~2년차에 2600억원, 2800억원을 납부한 신라면세점 역시 3년차부터 2900억원, 3100억원, 3300억원으로 액수가 증가한다. 신세계 역시 800억~900억원의 임대료를 매년 납부해야 한다. 각 사마다 액수 차이는 크지만 현재 매출, 영업이익 추이를 봤을 때 부담이 되기는 마찬가지다.

'내년 3월' 인천공항, 면세점 엑소더스 시작될까 인천국제공항/사진=아시아경제DB


공사 측은 임대료를 국가계약법을 준수해 거둬야 하는 세수이기 때문에 임의로 인하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한 공사 측은 임대료 인하의 근거가 될 전체 여객 수가 줄지 않았다는 점도 인하 불가의 이유로 들고 있다. 최근(하계 성수기 기간ㆍ7월15일∼8월20일) 인천공항을 이용한 여객은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한 677만명을 기록했다. 일평균 여객은 전년 하계성수기 대비 2.4% 증가한 18만3038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천공항 매출의 40% 가까이가 면세점 사업자들의 임대료에서 나온다"면서 "정규직 전환 등 이슈가 산적한 상황에서 공사 측이 이 수익사업에서 한 발 물러날 지는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과 이에 대한 예측하지 못한 중국인관광객 급감이라는 악재로 각 업체들의 운영이 어려워 진 것은 사실인 만큼, 정부의 추가적인 결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