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보물 지정 예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보물 지정 예고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 [사진=조계종 제공]
AD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문화재청은 29일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 등 세 건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은 1995년 삼층석탑 해체보수 작업 중 기단 적심부에서 발견됐다. 유물은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는 20구의 금동불상과 탑에 봉안된 공양물, 석탑의 보수를 알려주는 조선 초기의 ‘개수탑기비’(1491)를 포함한다.


불상 중에는 머리와 대좌 등이 파손된 것도 있지만, 출토지가 분명한 곳에서 시기를 달리하는 많은 불상이 함께 발견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석탑 안에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 외에 불상을 봉납한 사례는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흔히 볼 수 있으나 다양한 형식과 양식, 시대별 층위를 가진 불상이 다량으로 발견된 사례는 극히 드물다. 통일신라 9세기에 건립된 석탑이 이후에도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렀음을 알려준다.


‘선림보훈’은 고려 우왕 4년(1378) 충주의 사찰 청룡선사에서 간행한 서책으로, 선사들의 도(道)와 덕(德)에 관한 교훈을 모은 선서(禪書)로 고려 말부터 조선으로 이어지는 시기의 우리 불교 사상이나 선종의 흐름을 살필 수 있는 자료다. 간행된 경위와 지방 사찰본 간행과 관련된 시대 상황을 이해할 수 있으며, 현존하는 판본 가운데 판각과 인출이 가장 정교하다.


또한 보물로 지정 예고된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제2초강대왕도)’는 시왕도 10폭 중 1976년 도난당해 행방을 알 수 없던 두 폭 중 한 폭이다. 최근 프랑스에서 ‘제2초강대왕도’가 발견되어 2016년 원래 봉안처인 고성 옥천사에 다시 봉안하게 된 역사적 유물이다.


문화재청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예고한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등 세 건에 대해 30일간 예고 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