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주식 11만주(0.33%) 블록딜
지분율 4.64%→4.31%로 감소
공정위 '총수 지정' 피하기 목적으로 해석
공정위는 '영향력'에 주목…블록딜 효과 미지수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네이버(NAVER)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보유지분 0.33%를 시간외 매매(블록딜)했다. 11만주로 매각 가격은 주당 74만3990원이다. 이로써 이 GIO는 총 818억원의 현금을 확보하게 됐다. 지분율은 4.64%에서 4.31%로 낮아졌다. 네이버는 이 사실을 23일 공시했다.
갑작스레 이 GIO가 지분율 축소에 나선 것은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시대상 기업집단(준대기업집단)과 동일인(총수) 지정이란 사안과 관계가 깊다. 특히 이 GIO가 동일인으로 본인이 아닌 기업 자체로 지정해달라고 공정위에 요청을 한 후 지분이 적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런 조치가 총수 지정에 어떤 효과를 미칠지는 미지수다. 김상조 공정위원장은 21일 국회에서 총수 지정 사안과 관련해 '실질적 영향력'을 들여다보고 결정할 문제라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기업에 실질적 영향력 행사 여부라는 오직 하나의 기준으로 판단하려고 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지분율을 낮춘 사실이 총수 지정을 회피할 결정적 사안이 되기는 힘든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 이 GIO의 영향력 부분을 살펴보면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한성숙 대표를 비롯해 그의 신임을 얻은 인물들이 주요 경영진 자리에 올라 있다. 주요 인사권에 대한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또한 이 GIO는 등기이사로서 경영과 관련한 내부 의사결정권자의 일원이다. 또 네이버를 창업하고 키워온 경험을 토대로 캠프모바일이나 스노우 등 자회사의 글로벌 진출 등을 주도하는 등 주요 경영전략 수립과 집행에 참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9월 플뢰르 펠르랭 전 프랑스 디지털경제부 장관이 설립한 '코렐리아 캐피탈'에 투자해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같은 선상이다. 지난해 페이스북의 '스노우' 인수 제안을 거절한 주체도 이 GIO였다.
물론 이 GIO가 지난 3월 의장직을 내려놓은 후 역할이 축소됐다는 점은 총수 지정 사안에서 비켜갈 수 있는 대목이다. 가족의 경영 참여나 지분 증여 등이 되지 않고 계열사 순환출자가 이뤄지지 않은 것도 마찬가지다. 다른 재벌그룹과는 지배구조 자체가 크게 달라 일감몰아주기 등의 논란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또한 작년 라인 상장 후 기자간담회에서 "일본 사업(라인)이 실패했으면 나도 잘렸다"고 발언한 것을 두고 사업 성패에 따라 책임을 지고 회사를 떠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부분에서도 총수로서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네이버는 설명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총수 없는 기업집단으로 지정받기 위한 노력"이라며 "공정위에 '난 언제든 엑시트할 수 있다'는 시그널을 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에대해 네이버 관계자는 "이 GIO는 회사 전략이나 아젠다를 제시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며 "지분을 매각한 것은 개인적 목적이며 매각을 여러번 시도하다 이번에 성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