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별이 4개]①軍 '대장' 인사 단행…1등 대장은 과연 누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군 최고 계급 '대장', 의전 순위 1위는 합참의장

[별이 4개]①軍 '대장' 인사 단행…1등 대장은 과연 누구? 정경두 합참의장 내정자. 사진=연합뉴스 제공
AD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대장(大將) 인사를 단행하면서 총 8개의 대장 자리 중 1명을 제외한 모든 인사가 교체된 가운데 국군 최고 계급인 대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8일 문 대통령은 합동참모의장(합참의장)으로 정경두 공군참모총장(공사 30기)을 내정하는 등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대장 인사를 단행했다. '대장'이란 국군 최고 계급이자 장성급 장교 중 별 4개가 붙는 '4성 장군(Four Star)'를 의미한다. 4성 장군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NATO) 회원국의 군대에서 최고위 지휘관을 뜻한다. 별 1개는 준장, 2개는 소장, 3개는 중장이다.


◆'4성 장군'이라 불리는 軍 최고봉, 대장 중의 대장은 누구? = 우리나라에서 대장 칭호를 받는 직책은 현역 군인 서열 1위인 합참의장을 포함해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제1야전군사령관, 제2작전사령관, 제3야전군사령관 등 총 8개로 임기는 2년이다. 국군 대장 8명의 의전서열은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순이며 그 외 4명은 진급일이 빠른 순으로 서열이 높다.

대장에 진급하기 위해서는 소위부터 중장까지 이르는 동안 모든 종류의 지휘관 보직을 전부 이수해야 한다. 육군을 기준으로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 연대장, 사단장, 군단장 등을 모두 역임해야만 대장에 오를 자격이 생긴다. 이에 더해 해군은 항해 병과, 공군은 조종 특기여야만 대장에 올라갈 수 있다. 또 감봉, 보직해임, 파면 등 한 번이라도 징계 처분을 받았을 경우에는 대장이 될 수 없다.


한편 한국군 최초의 대장은 백선엽 장군으로 한국전쟁 중이던 1953년 1월31일 대장으로 진급했다. 역대 대통령 중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육사 2기), 전두환 전 대통령(육사 11기), 노태우 전 대통령(육사 11기)이 대장에 진급한 바 있다.



[별이 4개]①軍 '대장' 인사 단행…1등 대장은 과연 누구?
[별이 4개]②군대 최고 계급 '대장', 월급은 얼마?
[별이 4개]③대한민국 최초 대장 백선엽, '다부동 전투' 이끈 영웅






아시아경제 티잼 송윤정 기자 singas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