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보내주지 못하는 정당, 떠나가지 못하는 후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8초

대선 끝난지 석 달 만에…당권 타진하는 敗者들

보내주지 못하는 정당, 떠나가지 못하는 후보
AD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최근 19대 대통령 선거 낙선자들이 여론의 뭇매에도 당권 도전 등 정치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각종 사건·사고로 운신의 폭이 좁아져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 계파·노선 갈등과 대안 리더십을 찾지 못하는 당의 '빈틈'이 원인으로 꼽힌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대통령 선거 3위 낙선자인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는 최근 당 대표 선거 도전 여부를 숙고하고 있다. 5·9 대통령 선거가 끝난지 87일 만이다. 안 전 대표는 당 안팎을 대상으로 의견을 청취하고 있는 상태며, 출마를 결행할 경우 금명간 입장을 표명한다는 방침이다.

2위 낙선자인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이미 패자(敗者)가 된 지 41일 만인 지난 6월18일 당 대표 출마를 선언했고, 56일 만인 7월3일 당 대표로 당선됐다. '초(超) 광속' 정치 행보를 이어간 셈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낙선자들이 선거가 끝난 지 3개월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당권 도전 등 광폭의 정치행보를 보이는 것을 두고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실제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13대 대통령 선거를 제외하면, 유력한 대선 낙선자이 정계은퇴나 1년 이상의 정치적 칩거기를 거친 뒤 정계에 복귀하는 것이 일종의 공식이었다. 대선 패배의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까닭이다.

당장 14대 대선(1992)에서 패배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은 3년간의 정계은퇴 및 외유를 거쳐 1995년에 정계에 복귀해 대권 4수(修) 등정에 나섰다. 15대·16대 대선의 패자인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도 각각 약 1년의 칩거기와 정계은퇴를 거쳐 당에 복귀했다.


가장 근접한 사례인 문재인 대통령도 18대 대선(2012) 패배 이후 당권에 도전하기까지 3년이라는 시간을 잠행해야 했다. 북방한계선(NLL) 논란, 세월호 참사 등으로 곧 정치 행보를 재개했지만, 당권에 도전한 것은 3년의 잠행을 마친 2015년이었다.


이처럼 이례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홍 대표와 안 전 대표의 공통점은 각종 사건·사고로 위기에 놓여있는 반면 원외인사로서 정치적 운신의 폭이 넓지 않다는 점이 꼽힌다.


홍 대표는 현재 '성완종 사건'으로 기소 돼 대법원의 판결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고, 안 전 대표 역시 '문준용 의혹 제보 조작사건'으로 정치적 책임론에 휩싸여 있다. 특히나 원외(院外) 인사인 이들이 위기 상황에서 목소리를 키우기 위해서는 당권 도전 등 극약처방이 불가피 하다는 것이다.


정치권에 오래 몸 담아 온 한 야권 의원은 "홍 대표나 안 전 대표 모두 원외인사로 전락해 버린 상황이어서 운신의 폭이 넓지 않다"며 "부정적인 여론에도 두 정치인이 돌파를 선택한 것은 이런 현실적인 이유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허약해진 각 정당의 리더십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한국당의 경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사태와 비박(비박근혜계) 진영의 탈당으로 당내 친박(친박근혜)진영의 구심력이 와해 됐고, 국민의당 역시 호남과 비 호남 모두 대안 리더십으로 떠오를 여력이 없는 상태다. 다시 말해 대선 패배로 야기된 당의 리더십 약화, 노선의 불투명성이 역설적으로 낙선자들의 공간을 열어 준 셈이다.


한 정치권 인사는 "이번 대선에서 홍 대표와 안 전 대표는 모두 패배했지만, 개인기로 당의 지지율을 뛰어넘는 성적표를 얻었다"며 "이런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낙선자들이 보여준 경쟁력은 당권 도전의 명분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낙선자들이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대권'일 수 밖에 없다. 다당제 체제 아래서 향후 정치일정이 유동적이고, 정계개편 가능성도 상시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인 만큼 대권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서는 일단 당을 장악하는 것이 급선무다.


이종훈 시사평론가는 "야당들이 각자의 이유로 리더십이 취약해 진 상태인데다가, 정계개편 가능성까지 대두되면서 주자들이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이 헌법 개정을 약속한 만큼 향후 정치 일정이 유동적으로 흘러갈 수 있다는 점도 한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