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미세먼지 잡기 위해 총 866억원 투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서울시, 미세먼지 잡기 위해 총 866억원 투입
AD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서울시가 정부와 손잡고 노후자동차 배출 미세먼지(PM10) 잡기에 나선다.


서울시는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정부와 함께 총 866억원을 투입한다고 2일 밝혔다.

예산 866억원은 시가 당초 편성한 본예산 620억원에 정부와 시가 5대5로 부담하는 추경예산 246억원으로 구성됐다.


자동차 배출 미세먼지는 서울 내 자체 발생 미세먼지 중 37%를 차지해 난방으로 인한 미세먼지(39%)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이에 시는 올해 연말까지 차량 저공해화 사업을 추진해 미세먼지 대기질 개선 강도를 한층 높이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앞서 시는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31만대의 노후 경유차량을 대상으로 매연저감장치 부착과 조기폐차 등 저공해화 조치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2005년 58㎍/㎥에서 지난해 환경기준(50㎍/㎥) 이하인 48㎍/㎥로 저감할 수 있었다.


이번 추경으로 1만3217대의 차량에 추가적으로 지원이 가능해졌다. 올해 총 3만4964대의 노후 경유차량과 건설기계에 대한 조기폐차, 매연저감장치 부착, 엔진교체 등의 비용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


시는 특히 경유차량에 집중한다. 조기폐차(2만8607대), 매연저감장치 설치(4232대), LPG엔진개조(237대), 미세먼지-질소산화물 저감장치 설치(160대) 등 경유차량 3만3236대를 지원한다.


이 중 가장 많은 지원이 이뤄지는 조기폐차의 경우 시에 2년 이상 연속해 등록된 경유차량으로 2005년 12월 31일 이전 배출허용기준이 적용돼 제작된 경유차량이 대상이다. 지원금은 차종 규모별로 165만원에서 770만원까지 지급된다.


한편 시는 이번 추경 예산에 가락·강서시장에 출입하는 전국 노후화물차량 매연저감장치 부착 사업과 분진흡입차량 추가 구매 사업도 포함한다.


가락·강서시장에 전국 노후화물차량이 출입하기 전 매연장치를 부착할 수 있도록 정부에 요청해 경기도를 제외한 8개 도에 5억원(총335대)의 지원 예산을 처음으로 배정했다.


또 토사, 분진 등을 수거할 수 있는 분진흡입청소차량 12대를 추가 구매해 총 89대로 확대한다. 12대의 분진흡입차량은 14만4000㎞의 도로를 청소해 토사 452t, 분진 43.6t을 수거할 수 있다.


황보연 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미세먼지로부터 시민건강을 지키기 위해 정부와 손잡고 적극적으로 예산 투입을 실시하는 만큼 경유차량 및 건설기계 소유자께서는 경유차 저공해화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