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 용호상박 혈투' 신한·KB…"이제부터 진검승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상반기 1등' 신한VS '2분기 역전' KB…양 지주 경상이익 8000억원대로 사실상 같아 '영업력' 전쟁

'1% 용호상박 혈투' 신한·KB…"이제부터 진검승부"
AD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국내 금융권의 '양대 산맥'으로 통하는 신한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가 20일 나란히 상반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말 그대로 '용호상박' 승부를 펼쳤다.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불과 1%대 차이로 우열이 갈렸다. 사실상 두 지주사의 체력이 엇비슷해지면서 양측 모두 '진검 승부는 이제부터'라며 전열을 다지는 모양새다.


이날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각 지주사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신한금융은 1조889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지주사 설립 이래 최대 실적이다. 같은 기간 KB금융은 1조860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해 마찬가지로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양 지주사의 '자존심 혈투'에 업계 관심이 쏠린 가운데 상반기 기준으로는 신한금융이 200억원대의 미세한 차이로 겨우 앞섰다. 하지만 2조원에 육박하는 반기 당기순이익 규모를 감안하면 겨우 1%대 차이에 불과하다.

2분기만 떼놓고 보면 KB금융이 9901억원, 신한금융이 892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KB금융이 신한금융을 약 1000억원 차이로 따돌리면서 2015년초 이후 9분기 만에 '골든크로스'를 이룬 셈이다. 그러나 이 역시 KB손해보험 인수 과정에서 발생한 일회성 이익(염가매수차익) 1210억원이 포함된 것을 감안하면 완벽한 승리라고 보긴 어렵다.


양 지주사의 실적 내역을 살펴보면, 신한금융은 특유의 강점으로 평가되는 리스크 관리가 돋보였다. 지난 1분기 약 3000억원에 달하는 신한카드 충당금 환입요인을 제외하더라도 그룹 대손비용율이 지난해 상반기(0.52%)의 절반 수준인 0.25%에 그쳤다. 리스크 관리 역량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면서 실적을 방어한 셈이다.

반면 KB금융의 경우 적극적인 인수합병(M&A)에 따른 재무적 성과가 돋보였다. KB증권, 손해보험, 캐피탈 등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시키면서 지분율 상향에 따른 비은행 부문 실적이 그룹 전체 실적 상향을 견인했다.

'1% 용호상박 혈투' 신한·KB…"이제부터 진검승부" (왼쪽부터)윤종규 KB금융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업계에서는 "두 거대 공룡 지주사의 몸집이 비로소 같아졌다"는 평이 나온다. 양 금융지주의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경상이익을 살펴보면 8000억원대 초반으로 사실상 체력이 같아진 셈이다. 신한금융은 '안정적 성장'을 기치로 전 자회사를 아우르는 균형적 포트폴리오를 더욱 강화했다. KB금융은 그간 약점으로 꼽혔던 수익성을 크게 개선하면서 관련 지표도 훌쩍 뛰었다. 지난 상반기 KB금융의 그룹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1.76%를 기록하면서 신한금융의 12.2%(신한카드 충당금 제외 10.5%)에 비견되는 지표를 달성했다.


두 지주사의 시가총액도 실적 발표를 앞두고 하루 사이로 엎치락뒤치락했다. 전날 시총에서는 신한금융이 다소 앞섰으나 실적발표 당일 다시 뒤집혔다. 이날 종가기준 KB금융이 기총은 23조9996억원, 신한금융은 23조9945억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처럼 두 지주사가 거의 같은 수준의 체력을 갖추면서 오는 연말에는 '영업력'에 따라 단기 승패가 갈릴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내년부터 새 국제회계기준(IFRS9)이 도입되면 유가증권 거래에 따른 차익이 순이익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경상이익 규모가 더욱 중요해진다. 아울러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디지털 등 부문에서 얼마나 의미있는 실적을 창출하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