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몸집 키우던 P2P금융…가이드라인에 성장세 주춤할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P2P대출이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오는 29일부터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이 본격 적용된다. 이에 P2P업계에서는 시장 성장세가 주춤하게 될 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13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40개 P2P업체의 누적 대출규모는 지난달 8680억원으로 한달만에 1336억원 증가했다. P2P 누적 대출액은 2016년 5월 891억원에서 1년도 되지 않아 10배가량 증가했다.

대출 증가 속도도 빠르다. 한달 대출 증가액은 지난 1월 593억원에서 2월 1000억원, 3월 1069억원, 4월 1336억원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항목별로는 건축자금 대출이 3353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신용대출(2240억원), 부동산 대출(1991억원), 기타 담보대출(1094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P2P금융 평균 대출 금리는 14.4%로 대출상품별로 4~19%대로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만기도 1개월부터 최장 48개월까지 다양하다.


P2P업계는 오는 29일부터 본격 적용되는 'P2P대출 가이드라인'에 준비하면서도 대출 및 투자 수요가 줄어들 것을 우려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이 시행되면 1인당 한 P2P업체에 투자할 수 있는 금액이 건당 500만원, 업체당 1000만원으로 제한된다. P2P업계는 이러한 조치가 대출 및 투자의 편의성이 떨어져 고객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 보고 있다.


한 P2P업계 관계자는 "이제 막 대중에 알려지면서 성장하고 있는데 가이드라인 적용이 시장을 키우는 데 큰 장애물이 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P2P업체들은 가이드라인이 본격 시행되기에 앞서 고객의 예치금과 회사 운영자금을 별도로 운영하는 '예치금 관리 시스템'도 도입해야한다. 농협은행, 신한은행 등이 시스템 사업에 뛰어들었으며 P2P업체들은 수수료 등을 감안해 은행과의 시스템 연계를 하게 된다.


다른 P2P업체 관계자는 "투자는 줄고 비용은 늘어나는 상황일 것"이라며 "스타트업이 많아 조금만 수익이 줄어도 타격은 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6월부터 한동안 P2P대출규모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