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학계 전문가 87% "동반성장 정책 강화 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학계 전문가 87% "동반성장 정책 강화 필요"
AD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동반성장위원회는 26일 학계와 연구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도 전문가 대상 동반성장 설문조사'에서 전문가 10명 중 8명 이상이 '동반성장 정책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2월15일부터 3월15일까지 한 달간 실시됐다. 170여명의 학계·연구계 전문가에게 객관식 설문을 통해 면접 및 이메일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에서 향후 동반성장 정책 방향에 대해 학계 전문가들은 '동반성장을 강화'(87%), '현행 유지'(10%), '축소'(3%) 순으로 응답했다.

동반성장을 위해 기업이 해야 할 일에 대해서는 '공정한 거래질서 준수'가 4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 밖에도 '동반성장 실천 노력'(22%), '인력·기술개발 등 협력확대'(19%), '기업의 경쟁력 확대'(16%)로 응답했다.


이에 대해 동반위는 "전문가들은 공정거래확립이 동반성장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이것은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 대·중소기업간에 소위 '갑을문화'가 남아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동반성장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건전한 산업생태계 조성'(40.4%), '중소기업 경쟁력 제고'(24.5%), '국가 경쟁력 제고'(17.3%), '대·중소기업 격차 해소'(13.0%), '대기업의 경쟁력 제고'(4.8%)순으로 응답했다.


기업들의 동반성장 노력은 5점 기준으로 봤을 때 대기업이 2.79점, 중소기업이 3.08점으로 나타나,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의 노력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대기업은 우수(21%), 보통(40%), 미흡(32%)으로 나타났고, 중소기업은 우수(27%), 보통(50%), 미흡(19%)으로 조사됐다.


지난 6년간 동반성장위원회의 동반성장 기여도에 대한 조사에서 전문가의 14%가 '매우 그렇다', 51%가 '그렇다', 30%가 '보통이다', 4%가 '그렇지 않다'로 조사됐다.


동반위의 성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동반성장 문화 확산'(56%),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28%), '동반성장지수 산정·공표'(16%)순으로 응답했다.


앞으로 동반성장 활성화를 위한 추진분야로는 '성과의 공정한 배분'이 29%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이어 '대·중소기업간 격차 해소'(23%), '대 소기업간 갈등 조정'(21%), '일자리 창출'(14%), '관련제도 마련'(6%), '정부에 정책건의'(6%)순으로 나타났다.


안충영 동반성장위원장은 "4차 산업 융복합시대에 한국경제의 뉴 노멀 탈출과 대도약을 위해 동반성장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며 "동반위가 민간자율합의기구로 성장하여 선순환 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국민적 관심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