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트럼프·시진핑의 조건부 빅딜, 폭과 내용에 관심

시계아이콘01분 3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트럼프·시진핑의 조건부 빅딜, 폭과 내용에 관심 (사진=AP연합)
AD

[아시아경제 뉴욕 김근철 특파원]지난 6~7일 미국 플로리다에서 열렸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주변 기류가 미묘한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무역-북핵 빅딜' 설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양측이 합의한 내용과 폭에 대한 궁금증도 증폭되고 있다.


북한의 태양절 군사 퍼레이드와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에 침묵하던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오전 트위터를 통해 첫 반응을 보였다. 그는 "중국이 북핵 문제와 관련해 우리와 협력하는데 왜 내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이라고 부르겠느냐? 어떤 일이 일어날지 두고 볼 것"이라고 썼다. 이는 북핵 문제 해결에 중국이 협조하는 대가로 환율조작국 지정 면제라는 반대 급부를 주는 빅딜이 있었음을 거듭 확인해주는 내용이다.

플로리다 미ㆍ중 정상회담 직후 양측은 북한 문제 해법에 대해 구체적인 발표나 언급은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양측에 의해 북핵 문제와 미ㆍ중 관계에는 변화 기류가 완연하다.


중국을 향해 미국 무역 적자의 주범이라고 몰아쳤던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입장을 확 바꿨다. 그는 최근 시 주석에 대해 '현명하고 유연하다'고 칭찬하는가 하면 '중국이 환율조작을 하지 않았다'며 화끈하게 면죄부까지 줬다.

정상회담 이후 베이징 당국의 대북 기류도 달라지고 있다. 최근 중국국제항공의 베이징ㆍ평양 노선 잠정 중단과 최대 국영 여행사인 중국국제여행사의 북한 관광상품 판매 중단 결정의 배경엔 베이징 당국이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중국 세관인 해관총서가 중국 항구에 보유하고 있는 석탄 약 200만곘을 북한에 반환하도록 지시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의 한국 도착 직전 기내 브리핑에선 중국이 강력히 반발해온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를 한국 차기 정부가 결정할 수 있다는 언급이 나와 눈길을 끌기도 했다. 물론 한미 정부가 "사드 배치에 대해 입장 변화가 없다"며 긴급 진화했지만 미ㆍ중 간 모종의 조율이 있었는지 주목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북핵 문제 상호 협조에 대해 상당히 교감을 이뤘다하더라도 빅딜의 실체와 구체성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플로리다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지긴 했으나 구체적인 '무역-북핵 빅딜'의 세부 사항을 다듬기엔 역부족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특히 시 주석으로선 트럼프 대통령의 적극적인 요구에 공감을 표시하면서도 중국식 해결 방법에 대한 존중을 요구했을 가능성이 많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북한에 대한 영향력이 생각만큼 쉽지 않다는 시 주석의 설명에 공감을 표시했다고 공개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에 대해 거듭 기대를 표명하면서도 "지켜 보겠다"는 꼬리표를 다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양측 간 구체적인 빅딜이 있었다기보다는 베이징 당국에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시간과 명분을 주고 있는 셈이다. 현재로선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사이의 빅딜은 한시적이고 조건부인 셈이다.


다만 북한의 핵ㆍ미사일 도발이 이어지고 중국에 대한 미국의 기대가 베이징 당국이 요구해온 북ㆍ미 간 대화를 위한 시간 벌기였다는 실망으로 바뀔 경우 미ㆍ중 관계도 격랑을 피하기 힘들어질 전망이다.



뉴욕 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