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은 2금융권 통계오류 반복…시장선 신뢰성 논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비은행 가계대출 주담대 최대 7000여억원 과대집계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한국은행이 '저축은행 통계오류'로 홍역을 치른 지 한 달만에 또 다시 통계를 수정해 논란이 되고 있다.

한은이 12일 발표한 '3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1년치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 수치가 기존 발표치에서 수정됐다.


한은은 이날 12월 비은행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증가액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2조2419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종전 통계인 2조9767억원보다 7348억원 줄어든 수치다. 또 예·적금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등 나머지 대출인 '기타대출'은 7348억원 늘어난 2조376억원으로 수정됐다. 올 1월 수치도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주택담보대출액도
4991억원 줄어든 2조2419억원, 작년 11월 5683억원 감소한 1조9259억원으로 바뀌었다.

한은 관계자는 "일부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에서 기타대출 중 일부가 주택담보대출에 포함돼 있어 이를 재조정됐다"며 "2015년 12월부터 1년치 통계를 다시 제출받아 수정했다"고 말했다.


한은이 한 달 간격으로 제2금융권 통계수정으로 논란을 빚으면서 시장에서는 한은 통계의 신뢰성 논란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지난달 한은은 올해 1월 영리성 자금이 포함된 가계대출 증가액을 발표했다가 뒤늦게 이를 수정하고 관련자들을 문책했다.


익명의 한 민간기관 연구위원은 "최근 한은이 발표하는 가계부채 통계치에서 급격한 변화가 있거나 하는 부분은 자료출처의 변화가 있었는지 한 번 더 확인해 볼 것을 권한다"며 "제2금융권의 여건상 정확한 수치를 얻기가 힘들다는 점을 감안해도 중앙은행의 통계치가 한 달 간격으로 논란을 빚고 있다는 점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한은의 통계치를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은행권을 중심으로 가계대출규제가 진행되면서 비은행권으로 대출수요가 옮겨가는 집중되는 '풍선효과'가 있다고 판단해 왔다. 이에 제2금융권에 대해서도 여신심사 선진화가이드라인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