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정부는 세월호 선체 절단 직립을 "미수습자 조기 수습을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선체조사위원회와 협의 과정에서 미수습자 조기 수습이냐, 사고원인 조사를 위해 선체 전부를 세우는 등 또다시 대형 작업을 할 것이냐를 두고 합리적인 합의가 요구되고 있다.
27일 이철조 세월호 인양추진단장은 "객실부분을 직립하는 필요성을 검토했던 것은 미수습자를 가급적 신속히 수습해서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겠다는 취지"라며 "객실이 지금처럼 옆으로 누워있는 상태에서는 객실 내 진입로가 없다"고 말했다.
객실이 직립해야 바닥을 통해 신속한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또 만약 객실을 분리하더라도 침몰 원인 규명을 위한 선체 조사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 단장은 "객실 내 조타실 내에 대해서는 직립 작업 전에 조사를 할 수 있을 때는 하겠다"면서 "침몰 원인과 관련해 절단 및 직립 작업은 큰 연계성이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 선체조사위원회와 협의해서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선체에 대한 유해 조사 등 정밀하게 진행하고 진입로 확보 계획을 잘 만들어야 한다"면서 "미수습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를 수습가족들과 상의해서 선정한 다음에 특별한 선체 절단 정리 작업 없이 접근이 가능하다면 곧바로 작업을 착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에 선체를 모두 세우는 작업은 또다른 대형 작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선체를 자체를 세우는 것은 불가능 하지는 않다"면서 "리프팅빔까지 포함해서 1만1000t이 넘는 초대형 중장물을 다시 세우는 건 또 다른 대형 작업이 될 것이며 하루 빨리 미수습자를 찾겠다는 유가족들의 바람과는 거리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8월 정부와 전문가들이 객실분리 직립 방식을 논의할 당시 해상크레인을 활용한 육상직립이 준비기간을 포함해 총 150일이 걸리는 것으로 예측된바 있다. 준비기간 없이 60일이 걸리는 객실분리 직립 방식 보다 기간이 길다.
또 선체를 바로 세우는 과정에서 객실 등 선체 일부가 손상될 위험성도 더 크다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했다.
아울러 선체 조사와 동시에 다음달부터 세월호가 가라앉아 있던 해저면에 대한 수색작업도 시작된다.
이 단장은 "선체 주변 가로 200m, 세로 160m, 높이 3m의 유실방지펜스를 설치했다"며 "수색 구역을 가로 40m, 세로 20m 총 40개 구역으로 나눈 다음 위에서 아래로 좌에서 우로 수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선미측 2개 구역을 특별 수색 구역으로 정하고 2차에 걸쳐서 수색을 할 계획"이라며 "특별 수색 구역은 일반구역에 비해서 더 꼼꼼이 수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