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운찬, 김종인·유승민·남경필과 연쇄 접촉…홍준표는 인명진과 회동(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대선출마를 선언한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28일 바른정당의 대권주자인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 ‘킹메이커’로 불리는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잇따라 접촉했다.


정운찬, 김종인·유승민·남경필과 연쇄 접촉…홍준표는 인명진과 회동(종합)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운데)와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왼쪽),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열린 '한국경제의 길을 묻다' 토론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윤동주 기자 doso7@asiae.co.kr
AD

정 전 총리는 이날 오전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한국경제의 길을 묻다 - 김종인이 묻고 정운찬ㆍ유승민이 답하다' 토론회에서 저성장ㆍ저출산, 양극화 등 경제 위기를 진단하고 해법을 모색했다. 정 전 총리와 유 의원이 공동 주최한 행사에는 정병국 대표 등 바른정당 지도부가 모습을 드러냈다.


정 전 총리는 그동안 국민의당, 자유한국당 등에서 입당 제의를 받아왔으나 최근 국민의당, 한국당과는 선을 긋는 행보를 띠고 있다. 정 전 총리 측은 바른정당과 접촉하고 있으나 입당과 관련해선 명확한 의사표현을 자제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의 좌장은 비문(비문재인)·비패권지대를 주창해온 김 전 대표가 맡았다. 개헌을 고리로 제3지대론을 확산 중인 김 전 대표는 정 전 총리와 경제분야에선 이미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 의원은 토론회에서 "우리 경제에서 성장의 해법으로는 혁신밖에 없다"면서 "자유롭고 공정한 시장경제로 기업가 정신을 꽃피울 것"이라고 다짐했다. 양극화와 불평등. 재벌주도의 시장경제를 차례로 언급하며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인 '경제정의'도 거론했다.


정 전 총리도 "재벌이라는 단어가 우리 경제에서 없어지도록 해야한다"며 "중소기업 연금 신설, 초과 이익공유제 실시 등이 동반성장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정규직 근로자를 늘리기 위한 해법에선 점진적으로 비정규직 채용을 금지해야한다고 말해, 같은 행보를 걸었다. 다만 일자리 창출에 있어선 경제발전을 통한 파이 키우기(유 의원)와 노동시간 단축(정 전 총리) 등으로 입장이 갈렸다.


아울러 정 전 총리는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정규직 차별 해소’ 토론회에선 축사자로 나서 바른정당의 또 다른 대선주자인 남 지사와 조우했다.


여권 대선주자인 홍준표 경남지사도 이날 경남 창원을 방문한 인명진 한국당 비대위원장과 오찬 회동을 했다. 회동에선 당원권 회복에 대한 얘기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국당 측이 홍 지사 출마에 걸림돌을 제거하기 위한 수순으로 풀이된다.


범여권 주자들이 활발하게 이합집산을 타진하는 가운데 지지율 반전을 노리는 국민의당에서도 연대·연정논의가 기지개를 켜고 있다.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는 전날 전남 나주에서 열린 국민의당 기초단체장-지방의원 합동연수에서 4당 체제 아래에서 국회운영에 대해 "개헌을 통해 연립정부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천정배 전 국민의당 대표도 바른정당을 포함하는 '개혁적 연정론'을 강조하고 있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