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제공량 소진 후 추가 사용시 일반요금제보다 불리
청소년요금제, 10대 평균 사용량대로 쓸 경우 9만~10만원 나와…일반요금제가 더 저렴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연령대가 높은 고령자나 청소년들은 통신요금을 낮추기 위해 전용 요금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데이터 사용량이 적을 것으로 보고 일반 요금제보다 다소 가격이 낮은 전용 요금제를 쓰게 되지만, 이들 전용 요금제는 해당 연령층의 평균 사용량에 비해 음성통화나 데이터 기본 제공량이 부족해 기본량을 초과할 경우 실익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고령자나 청소년이라도 평소 음성통화, 데이터 사용량 등이 많다면 일반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한국소비자원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60대 이상 소비자 435명과 13세~19세 청소년 432명에 대해 월 평균 데이터 사용량을 설문조사한 결과, 60대 이상 소비자의 1인당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2.79GB, 청소년의 1인당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6.49GB로 나타났다.
음성통화는 60대 이상 소비자는 월 평균 163분, 청소년은 109분 사용했다.
그러나 이동통신 3사 실버요금제 중 60대 이상 소비자의 데이터 평균사용량인 2.79GB보다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요금제는 1종에 불과했다.
통신사별 최대 데이터 기본 제공량은 KT가 500MB, LG유플러스가 1GB에 불과했고 SK텔레콤 역시 2.79MB 이상 제공하는 요금제는 1종뿐이어서, 전 연령이 이용 가능한 일반요금제와 비교해 요금의 실익이 부족했다. (기간 약정 할인이 없는 요금제 기준)
LTE 스마트폰 전용 실버요금제는 SK텔레콤이 10종으로 가장 많고 KT 3종, LG유플러스 2종에 불과했다.
전 연령이 이용 가능한 데이터선택요금제가 통신사별로 7~9종에 달하는 것과 비교할 때, SK텔레콤을 제외하고 실버요금제에 대한 선택의 폭은 좁은 실정이다.
또한 실버요금제 15종 가운데 3종을 제외한 12종이 200MB에서 1.2GB 사이의 데이터만 제공하고 있고, 음성통화 기본 제공량도 150분 이하에 집중돼있다.
청소년 요금제도 마찬가지였다.
13세~19세 스마트폰 이용 청소년들의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6.49GB, 음성통화 사용량은 109분이었지만 현재 이동통신 3사가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요금제의 기본 데이터 제공량은 최대 3GB에 불과하고, 조절제공량을 사용하더라도 음성통화를 100분 이상 사용할 경우 데이터를 최대 4.5GB 내외로만 사용 가능하다.
기본제공량·조절제공량을 모두 소진한 상태에서 데이터를 추가로 사용할 경우 100MB당 2000원 이상의 비용이 발생해, 데이터를 5GB 이상 사용하는 청소년은 청소년요금제가 오히려 더 손해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 제공 데이터 소진 후 400kb의 속도로 무제한 데이터 사용이 가능한 요금제도 있으나 이 속도로는 동영상이나 대용량 파일을 실행하기 어렵다.
또한 방과 후 시간 데이터 할인, 교과·음악 전용데이터 추가 제공 등의 요금제도 출시돼있지만 기본 제공 데이터양 자체가 적어 상당수 청소년이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국내 스마트폰(4G) 이용자의 1인당 데이터 사용량은 7월 기준, 5GB를 상회한 후 그 수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원은 "청소년요금제 중에는 통화·문자·데이터 등을 자유롭게 조절해 사용할 수 있는 조절제공량(알,링,원)을 기본요금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요금제가 있지만 일반요금제의 음성통화 요율이 1초당 1.98원인데 비해, 청소년요금제의 음성통화 요율은 1초당 2.5알(링,원)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다"면서 "조절제공량을 충전할 경우 1알(링,원)당 1원이 부과되고 있는 바, 일반요금제와의 형평성에 맞게 개선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는 "실버·청소년 소비자가 스마트폰 요금제를 선택할 때 본인의 음성통화·데이터 사용량을 사전에 파악하고, 약정 할인, 심야 할인, 데이터 안심옵션 등의 부가사항을 고려해 선택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