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스로 대응하는 '지능형 보안', 정부가 손 걷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지능형 보안 체계 수립 위해 290억원 배정
머신러닝 기반 능동 방어 체계 ·차세대 암호화 등 보안 신기술 개발
부처간 및 민관 협력체계 수립 계획


스스로 대응하는 '지능형 보안', 정부가 손 걷었다 제공=미래창조과학부
AD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정부가 지능정보사회의 점차 다양해지는 사이버위협을 능동적·자동적으로 방어하는 '지능형 보안' 체계 수립 및 연구 개발에 나설 전망이다.


정부는 27일 '제8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을 열고 약 290억원의 예산이 책정된 '국가 사이버보안 R&D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정보통신전략위원회는 지난 2014년 5월 정보통신(ICT) 산업 진흥 및 규제개선을 위해 신설된 부처 간 정책조정 및 의결기구다. 국무총리실 소속으로 현재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최양희 미래부장관이 간사를 맡고 있다.


먼저 머신 러닝 기반의 능동형 자가 방어 기술이 개발된다. 사이버위협이 지능화 및 다양화되면서 매번 각 위험에 직접 대응하던 체계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스템의 정상상태를 스스로 학습, 외부 위협을 감지하고 소프트웨어(SW) 상의 보안 취약점을 자동 분석 및 업데이트하는 기술이 개발될 전망이다. 또한 SW난독화, 데이터 훼손 검증 및 복원이 가능한 사이버 자가변이 기술, 다양한 위협정보들을 시각화 분석하고 탐지능력을 높이는 지능형 사이버 자가방어 가시화 기술 등이 개발된다. 정부출연연구소와 기업 중심으로 내년부터 38억원의 예산이 도입될 예정이다.


스스로 대응하는 '지능형 보안', 정부가 손 걷었다 제공=미래창조과학부



기존 보안 위협을 탐지하는 기술도 더욱 지능화된다. 머신러닝을 통해 유사 사이버 공격을 분석하고 프로파일링하는 기술을 개발하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가 운영하는 사이버위협정보 분석·공유시스템(C-TAS)을 기반으로 해킹 공격 분석정보 공유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정보 유출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는 차세대 암호 기술도 마련될 전망이다.


세부 내용으로는 ▲DNA 분석 및 생체인증정보 보호를 위한 동형암호 실용화 기술 개발 ▲양자암호 안전성 실증 및 양자암호통신 시험망 구축 등 양자암호 고도화 기술 ▲양자컴퓨터 기반 암호해독 기술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보안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포스트(Post)-양자 암호 원천 기술 개발 및 실용화 ▲신규 정보통신기술(ICT) 환경 및 국가·공공 도입 암호기술 안전성 고도화를 위한 암호 안전성 분석 자동화 기술 등을 개발 개발 및 실용화 기술 등이 추진될 전망이다.


이 같은 원천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 현안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 기술도 개발된다.


올 한 해를 휩쓸었던 랜섬웨어 방어 및 차단 기술은 물론 다크웹 정보 수집·분석 기술, 블록체인, 차세대인증 기술 등이 추진될 전망이다. 또한 지능형보안, 핀테크 보안 등에 관련된 스타트업 기업들의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바우처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다.


스스로 대응하는 '지능형 보안', 정부가 손 걷었다 제공=미래창조과학부



주력 융합 산업(사물인터넷, 영상, 스마트카 등)의 안전성을 위한 산업별로 특화된 융합·물리보안 영역도 연구 개발 추진 대상으로 포함됐다.
세부 내용으로는 ▲바이오기술기반 복제불가형 인증 ▲클라우드 지능형 영상보안 플랫폼, 모바일 바이오인식 성능시험·인증 기술 등 지능형 물리보안 기술이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 개발을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KISA,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 국방부 국방과학연구소(ADD) 등을 주축으로 범부처간 민간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스스로 대응하는 '지능형 보안', 정부가 손 걷었다 제공=미래창조과학부


부처 간 협력의 일환으로는 미래부, 국정원, 행정자치부, 경찰청 등이 참여하는 '사이버보안 R&D 조정 협의회'가, 민관 협력의 일환으로는 한국 디지털CCTV연구조합,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한국융합보안학회 등이 참여하는 '정보보호 R&D 기술공유 협의체'가 구성된다.


그 밖에도 ▲사이버보안 국제 공동연구 확대 ▲정보보호 R&D 수행 기관 간의 기능 중복 피하기 위한 역할 재정립 등의 과제가 추진될 예정이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