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초동여담] 내 안의 악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18초

예전에 알던 한 지인은 연쇄살인범 검거 소식을 듣고 특별히 경악했다. 자신이 살고 있는 건물에 그도 살고 있었다. 지인은 이사를 가야 했다. 무심히 스치는 일상 속에서 그런 악마가 점처럼 끼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왠지 찜찜하다.


때로 살인은 국가의 이름으로 행해진다. 그 규모는 참혹하다. 역사상 최악의 연쇄살인범은 아돌프 히틀러가 아닐까. 그가 ‘인종청소’라는 이름으로 학살한 유대인은 600만명이며 포로들과 정신질환자, 사회주의자, 동성애자 등까지 포함하면 1100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서울에 사는 사람들 모두보다 100만명이나 많은 수를 죽인 것이다. 그런 히틀러가 클래식 음악 애호가였다고 하니 악마는 어디든 출몰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미국 예일대의 스탠리 밀그램 박사는 1961~1962년 ‘징벌에 의한 학습효과’를 측정한다는 거짓 명목으로 1000명가량의 실험 지원자를 모집했다. 실제로는 인간 속에 숨은 악마성을 알아보려 했다.


한 그룹은 교사, 다른 그룹은 학생 역할을 맡겼다. 각 그룹에서 한 명씩 짝을 지어 학생 역할자들은 끈으로 의자에 묶었다. 양쪽 손목에는 전기충격기를 달았다. 교사와 학생 역할자 사이는 벽으로 가려져 있다. 교사 역할자는 문제를 내고 학생 역할자가 틀릴 때마다 15볼트씩 전기 충격을 높여 가하도록 했다.

사실 학생 역할자들은 이 실험의 진짜 목적을 아는 실험팀 관계자들이었고 가짜 전기충격에 고통스러워 하는 연기를 했다.


전기충격이 450볼트까지 높아지면 치명적이다. 밀그램 박사는 그런 정도까지 전기충격을 높이는 교사 역할자는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결과는 전혀 달랐다. 65%가량이 450볼트까지 전기충격 강도를 높였다. 실험 주관자가 옆에서 “걱정 말고 해라. 책임은 모두 내가 진다”고 ‘독려’했다고는 하지만 놀라운 일이었다. 원한 관계가 있는 것도 아니었고, 단지 실험일 뿐인데도 누군가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 있음을 알고도 이들은 마다하지 않았다. 처음에는 주저하다가도 300볼트가 넘어가면서부터는 별다른 반응도 없었다고 한다.


스탠퍼드대학의 필립 짐바르도 박사는 1971년 자원자들을 모집해 간수와 죄수 역할 실험을 했다. 이 실험은 예정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간수 역할자들이 상황에 몰입해 죄수들을 독방에 가두고 벽 보고 서 있기 등 가혹한 방식으로 대했기 때문이다. 죄수 역할자들은 서로 의심하고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비굴하게 굴었다.


상황이 때로 인간을 얼마든지 악마로 만들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실험들이다.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소설 '더리더'에서 한나는 20대 때 지멘스 군수공장에서 일하다 나치 아우슈비츠수용소 감시원이 됐다. 그는 직무에 충실하려 했을 뿐이지만 유대인 학살의 공범이 되고 만다. "나만 그런가. 남들도 다 그렇게 하는데…" 따위는 정상참작이 되지 못한다. 정신 바짝 차리고 살아야겠다.


박철응 금융부 차장 hero@asiae.co.kr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