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연평균 1.5회 ‘정전’, 대산단지 전기 공급 불안정 ‘투자 위축’ 우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27초

[아시아경제(내포) 정일웅 기자] 대산석유화학단지(이하 대산단지) 내 불안정한 전기 공급이 기업 투자자금 유치 등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2일 충남도에 따르면 대산단지는 한국전력공사 대산변전소에서 개별 선로에 의한 단일 공급체계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는 여수와 울산 등 국가산단이 4~5개의 발전소와 각 6개의 변전소를 통해 전력을 받는 것과 비교할 때 정전에 노출될 확률이 높고 이로 인한 공장 가동 중단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


실제 대산단지는 지난 2006년 3월 변전소 변압기의 고장으로 두 개 업체가 104억원대, 같은 해 6월과 7월은 낙뢰로 인한 정전으로 10억~20억원의 피해를 각각 입었고 2007년 1회, 2009년 2회, 2010년 2회, 2011년 1회, 2012년 1회 등 정전 피해가 꾸준히 이어진 것으로 집계된다.

하지만 2012년 이후부터는 업체들이 정전 사례와 피해액 규모를 밝히지 않아 공식적인 집계를 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도는 대산단지에서 발생한 낙뢰와 산불 등으로도 연평균 1.5회가량 정전이 발생하고 이 때문에 발생하는 피해액이 연간 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문제는 대산단지 내 불안정한 전력 공급과 이와 맞물린 정전 피해가 기업 투자금 유치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데 있다. 현 전력 공급체계로는 대산단지에 예정된 대규모 기업 투자를 온전히 이어가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불안감에서다.


오는 2020년까지 예정된 대산단지 내 기업들의 투자 규모는 A기업 4000억원, B기업 3000억원, C기업 1조7000억원, D기업 2조1000억원, E기업 1800억원, F기업 2조원, G기업 9000억원 등 7조5800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기업들의 투자계획에 따라 시설이 증설될 경우 최대 전력부하가 현재 788MW에서 앞으로 1203MW~1718MW까지 늘어나기 쉽고 그만큼 정전 사고에 대한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할 때 기업이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계획된 투자를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게 하려면 발전설비의 추가와 업체 간 환상망 연계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게 도의 판단이다.


한편 도는 ‘대산단지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전력 공급 안정화 대책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대책마련에 고심 중이다.


T/F는 도와 서산시, 대산단지 6개사, 전력 관련 전문가 등 20여명으로 구성돼 대산단지 내 전력공급의 안정화 대책 추진 로드맵을 논의하고 전력수급 관련 주요사항 학습과 전문가 자문과제 추진계획 발표 등의 활동을 전개한다.


이와 별개로 대산단지 업체는 도와 정부에 잇따라 건의문을 전달하고 “송전선로가 1개 루트인 현 상황에서 한전의 송전선로 단락 사고나 낙뢰 등이 발생할 경우 대산단지 내 입주 업체가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문제제기하며 안정적 전력 공급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도 관계자는 “대산단지는 국가 경제 기여도가 높은 데 반해 각종 인프라 지원에선 소외받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국내 주요 기반 산업인 석유화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산단지 인프라 개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내포=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