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협정’ 내달 4일 공식발효…산림청, 탄소·온실가스 감축 ‘산림탄소 전략’ 마련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지구가 몸살을 앓고 있다. 성냥갑처럼 무너져 내린 건물, 모형 장난감처럼 맥없이 휩쓸려간 자동차와 주택, 수장된 도로와 도시. 재난 영화에서나 마주할 법한 장면들이 스크린 밖 현실에서 재현되고 있다.
지난 4~5일 제주·부산·울산 등 한반도 남부를 강타한 제18호 태풍 '차바'는 10명의 인명피해와 차량 1000여대 침수 및 2000억원의 재산피해를 안겼고 이 무렵 카리브 해 섬나라 아이티는 허리케인 '매튜'에 직격탄을 맞으며 840여명의 사망자가 속출, 도심 전체가 아수라장이 됐다.
이밖에 지난 4~5월 인도에선 사상 최악의 폭염과 가뭄으로 400여명이 사망하는가 하면 6월엔 태평양 맞은편 미국 중서부 지역은 폭염과 건조현상으로 잇달아 산불이 발생해 여의도 면적의 98배에 달하는 땅이 잿더미로 변하는 피해를 입었다.
이처럼 대자연에 비하면 인간의 힘은 미약할 수밖에 없지만 국제사회는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를 최대한 줄이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내달 신 기후체제 '파리협정' 공식 발효= 유엔(UN)은 내달 4일 신(新) 기후체제에 대응한 '파리협정(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을 공식 발효한다.
협정은 세계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재해의 근본적 원인이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있다는 점에 회원국 간 인식을 모으고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대응에 나선다는 데 의미가 있다.
앞서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1992년 6월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 기후변화협약(UNFCCC)과 1997년 12월 '교토의정서'를 연이어 채택하며 온실가스 배출량 줄이기에 주력했다.
또 지난해 12월에는 교토의정서 만료(2020년)를 대체할 협약으로 파리협정을 채택, 이달 4일 전체 195개국 중 72개국(56%)이 협정을 비준함으로써 다음달 4일자로 협정이 발효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파리협정은 공장 또는 산업시설, 자동차 등에서 나오는 매연의 주성분인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지구의 평균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할 때 2도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지구온난화'를 방지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특히 파리협정에서 '산림'은 온실가스 감축에 긴요한 요건으로 규정돼 온실가스 흡수원으로써 보전 및 증진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협정문에는 산지전용 및 산림황폐화로 인한 배출 감축의 이행이 규정(파리협정 제5조)되고 재원 확보의 중요성을 인정(결정문 54항)하는 내용도 담겼다.
◆우리 산림청 '산림탄소 경영전략' 추진= 파리협정 발효에 따라 우리나라 산림청은 '산림탄소 경영전략(안)'을 수립하고 ▲탄소 선순환 산림경영 기반구축 ▲신규 탄소흡수원 확충 ▲생산된 목재의 탄소저장 증진 ▲산림 바이오매스를 통한 화석연료 대체 등 '흡수수단별 세부이행계획'을 추진한다.
가령 산림청은 '탄소 선순환 산림경영 기반구축'의 일환으로 목재생산성이 높은 200만㏊(국내 전체 산림의 1/3 수준)을 경제림단지로 조성, 체계·집약적 산림경영을 실현하고 탄소흡수량을 고려한 산림경영계획 수립 및 임도망 구축을 우선으로 산림 플래너를 양성, 산주의 산림경영 참여를 확대한다.
또 벌채·재조림 대상지에 채종원산 묘목으로 조림비율을 2015년 25%에서 2030년 40%로 확대하는 한편 산불과 병해충 등으로 생장이 정체된 불량림을 탄소흡수력이 높은 수종으로 갱신(2015년 8574㏊→2030년 1만㏊)해 나가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신규 탄소흡수원의 확충을 위해 비(非)산림지역의 산림조성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생활권 도시 숲 등 신규 탄소흡수원을 개발하고 조림실적에 대한 이력관리를 실시하는 방식이다.
생산된 목재의 탄소저장 증진을 위해선 국산 목재의 이력관리와 제재목 생산 확대, 목재 가공업체의 시설현대화 지원 및 목재산업의 클러스터 조성 등의 노력이 병행된다.
이를 통해 산림청은 2015년 기준 30개소에 불과하던 목재 가공업체 시설현대화를 2030년 675개소로 늘리고 현재(2015년) 전무한 목재산업 클러스터를 2030년 3개소로 확충한다는 복안이다.
산림청은 국내 뿐 아니라 국외 탄소량 발생 감축에도 손을 보탠다. 개도국의 산림황폐화 방지 사업이 전 세계의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부각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녹화성공과 개도국 산림복원 기술을 각 나라에 전수한다는 맥락에서다.
앞서 산림청은 지난 2013년부터 선도적으로 동남아 4개국에 탄소배출 감축 시범사업을 추진해 왔다.
또 2017년~2020년에는 탄소배출 감축 사업 추진 전략을 마련하는 동시에 신규 사업 대상지를 발굴하고 2021년~2030년 동 사업을 본격화 할 계획이다.
이미라 산림청 산림정책과장은 "내달 파리협정의 발효로 2020년 이후 새로운 기후체제가 출범함에 따라 '저탄소 시대'를 향한 국제사회의 패러다임 변화가 예상된다"며 "산림청은 파리협정 발효에 따라 산림탄소 경영전략(안)을 마련, (탄소)흡수수단별 세부이행계획 이행으로 국내외 산림을 보전·증진하고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극대화 하는 데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