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압구정 재건축, 좋다 말았네

시계아이콘01분 3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발표되자 기대가 실망으로
강남구청 "사업지연 주민피해 우려"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몇 전부터 매물을 거둬 거래가 잠잠했는데 당분간 관망세가 유지될 것 같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 재건축단지의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가 이같이 말했다. 서울시가 6일 압구정지구 관리방안을 발표하자 재건축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바뀐 것이다. 국내 부촌 1번지로 꼽히는 압구정을 지구단위계획으로 전환해 관리하겠다는 서울시의 방침은 일단 시장에 찬물을 끼얹는 모양새다.


서울시 발표 내용 가운데 기존과 가장 달라진 부분은 지구단위계획으로의 전환이다. 압구정 아파트지구는 1976년 준공된 현대아파트1~3차를 시작으로 현재는 24개 단지 1만300여가구가 모여 다. 지금까지는 아파트지구 개발기본계획(정비계획)에 따라 재건축을 논의해왔다. 그런데 2003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면서 아파트지구가 사라져 지금은 주택법 부칙에 의해 유지됐다.

아파트지구가 70년대 아파트 공급 활성화를 목표로 생겨난 용도지구 가운데 하나로 생긴 만큼, 주거여건이 달라진 지금은 주변 지역의 교통ㆍ기반시설 등을 한데 아우르는 관리방안이 필요하다는 게 시 방침이다. 지구단위계획은 쉽게 말해 평면적인 토지를 어떻게 활용할지, 입체적인 건축물을 어찌 배치할지를 비롯해 도로여건이나 기반시설 배치계획ㆍ환경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시가 마련한 지구단위계획을 보면, 24개 단지는 6개 재건축사업단위로 구분돼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된다. 특별계획구역은 지구단위구역 내에서 현상설계 등에 따라 창의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거나 오랜 시간 걸릴 것으로 예상돼 따로 개발안을 만들어 추후 결정이 가능한 곳이다.


아울러 성냥갑이나 병풍 같은 일률적인 아파트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 창의적인 개발을 유도키 위해서다. 용적률(300%)이나 높이(35층), 구역별 공공기여 비율(15%) 등은 한강변관리기본계획 등 기존 상위계획의 기준을 준용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압구정역 인근 교회 주변을 준주거지역으로 종상향해 지구 랜드마크 역할을 할 만한 주상복합을 유도키로 하면서 다른 곳은 층수제한을 받는 주거지로 두기로 했다.


현재 시가 구상중인 계획에서 또 눈에 띄는 점은 단지 중간에 통경축을 곳곳에 둬 압구정로변에서도 한강 조망을 수월케 한 부분이다. 압구정 아파트지구는 개발 당시 대부분 생활편의시설을 갖춰 그 안에서 모든 걸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근린주구 이론에 기반해 계획됐다.


시간이 흘러 이제는 주변지역과의 단절을 심화시키는 동시에 도심과 한강변간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시 관계자는 설명했다. 통경축과 함께 보행축, 지하도로(성수대교 하부)를 둬 다수 시민의 한강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구현대 단지 북쪽으로 한강변과 맞닿아 굴곡진 곳에는 역사문화공원을 만들어 조망명소로 만들겠다는 계획도 이날 공개했다.


서울시 구상에 대해 강남구청은 "사전협의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반발했다. 지구단위계획으로 지정해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시간이 더 드는 만큼 재건축 사업이 지연돼 주민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를 댔다. 구청 관계자는 "주민 다수가 35층 규제 완화를 주장하고 있는데 이번 방침은 규제를 더 공고히 하려는 의도"라며 "의견수렴이 없으면 마찰이 예상되므로 주민설명회를 열고 구와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쳐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기존에도 재건축을 추진할 여건이 충분치 않았던 만큼 이날 시의 발표로 당장 재건축 시기가 바뀌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고준석 신한은행PWM 부동산투자자문TF 팀장은 "지구단위계획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만큼 이번 결정으로 단기간 내 수익을 낼 투자상품으로선 메리트가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주변 지역과 통합개발이 가능해진 만큼 추후 개발이 끝난다면 명성에 걸맞은 지역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