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합의 또 결렬, 노조는 12시간 또 파업…손실 3조 육박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정부의 긴급조정권발동이나 중소기업의 불매운동에 속이 탈것 같습니까? 아마 웃고 있을 겁니다. 밖에서 욕을 먹을수록 안에서는 잘한다고 자평하는 이상한 조직이 현대차 노조이니까요."
현대차 노조의 막무가내 파업에 대해 자동차 업계와 재계 인사들은 이구동성으로 "지극히 이기적인 패거리 문화가 존재한다"고 꼬집고 있다. 현대차노조의 현 집행부 성향과 노조 내부특징, 조합원들이 보여준 그간의 이기주의 등을 종합하면 파업에 대한 비난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이를 자신들의 성과로 받아들인다는 지적인 것이다.
노조는 전날 사측과의 교섭이 실패하자 29일 조합원들에 "새로운 각오로 투쟁대오를 정비하고 양재동 본사는 물론이고 회사측은 압박하는 다양한 투쟁전술을 마련하겠다"면서 "정부가 긴급조정권을 발동할 경우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공언했다.
노조는 이날 오전 6시 45분 출근하는 1조 근로자가 오전 8시 50분부터 6시간 파업에 들어갔다.오후 3시 30분부터 근무하는 2조는 오후 5시 30분부터 6시간 파업한다. 현대차는 지금까지 노조의 22차례 파업으로 생산차질 규모가 12만1167대에 2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12시간 파업이 이어지면 손실액은 3조원을 넘어서게 된다. 2012년 임협 때 12차례 파업으로 1조7000억원의 생산차질이 발생해 역대 최대 규모의 기록을 매일 갈아치우고 있다.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가 연례파업을 벌이는 이유는 표면적으로는 임단협 결렬이지만 실제로는 노조계파와 현장조직에서 벌어지는 노노(勞勞)갈등과 경쟁,'벌 수 있을 때 벌자'는 조합원 이기주의와 영합한 결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현대차노조 안에는 최소 10여개의 계파가 존재하고 이들이 민주노총 금속노조 산하 최대 노조단체라는 현대차노조의 집행부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임금과 복지, 노선의 선명성 경쟁을 벌이고 이는 강성투쟁과 연례파업이 발생하고 있다.
현대차노조 현장조직은 1987년 설립 첫해에는 계급적 세력(민실노), 중도적 세력(민실협), 실리적 세력(한빛) 등 3개 계파로 시작했다가 이후 분파를 거듭해 현재는 3대 주요 성향에 따라 10여개의 계파(현장조직)가 존재한다.이들 각 조직은 대의원 조직과 집행부 조직을 장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집행부를 장악하지 못한 다수의 현장조직은 집행부에 대해서 비판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어느 집행부도 대의원의 다수를 점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집행부는 반대파 현장조직을 두려워해 회사와 합리적인 교섭을 벌이기 어려운 구조가 됐다. 현재 파업을 주도하는 박유기 위원장도 전임 이경훈 위원장이 실리노선을 추구한 것과 달리 2006년 집행부 위원장, 2009년 금속노조 위원장을 지낸 강성으로 분류된다. 그간 노조 투쟁을 통해 이론으로 무장된 1000여명의 활동가들이 조합원들을 통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현대차 노조 지도부의 불안정을 초래하면서 동시에 현대차 노동조합의 비대화와 권력화를 유발하고 있다.
산업계와 학계에서도 현대차노조의 이같은 행태에 대해 꾸준히 문제를 제기해왔지만 근본적인 변화는 이끌지 못했다. 단국대가 현대자동차와 도요타자동차의 노사관계를 비교해 분석한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산업 노사관계 비교' 보고서는 "현대차노조가 단기적으로는 조합원의 이익을 효과적으로 대변하는 듯이 보이지만 구조적으로 대기업 노조의 이기주의에 대한 사회적 비난을 불러일으키며 기업 경쟁력의 약화를 피할 수 없다"면서 "보다 근본적으로 이는 '벌 수 있을 때 최대한 벌고 보자'는 조합원의 단기주의에 영합한 행태로 해석되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한 "노조는 처음부터 조합원의 동의수준을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에 흔히 연례적인 파업에 나설 수밖에 없는 것"이라면서 "교섭기간과 파업이 길어지는 것은 단체교섭과 노사관계를 둘러싼 노사, 노노간의 상호 눈치보기가 극대화된 결과"라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