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기업, 개인, 정부 모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크라우드펀딩'은 아이디어나 사업 계획을 가진 기업들이 다수의 소액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군중을 뜻하는 크라우드(crowd)와 재원 마련을 뜻하는 펀딩(funding)을 합해 단어가 만들어졌다.
보통의 크라우드펀딩은 사업가, 예술가 등이 자신의 프로젝트를 인터넷에 공개하면서 시작된다. 목표금액과 모금기간을 정해 알리고 익명의 다수에게 투자를 받는 방식이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참여하는 경우가 많아 '소셜 펀딩(Social Funding)'이라고도 한다. 즉 개인이 아이디어만 있으면 혜택을 받을 수도 있으며, 아이디어를 가진 개인에게 후원을 할 수도 있는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
모금 기간 중 후원을 해 준 후원자에게는 특전을 주기도 한다. 후원자에게 혜택을 제공해 후원자들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홍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투자자본과 홍보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세계 최초의 크라우드펀딩 사이트는 2005년 영국의 조파닷컴(www.zopa.com)이 시작한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이다. 2008년 미국에서 최초의 기부형(후원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인디고고가 출현하면서 '크라우드펀딩'이란 용어가 일반화됐다. 자금을 지원받고자 하는 기업들이 발행한 증권을 중개업체를 통해 투자자들이 사는 형태의 '증권형' 크라우드펀딩도 있다. 증권을 매개로 다수의 일반투자자가 유망한 스타트업에 소액의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방식이다.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은 2007년 영국의 크라우드큐브가 최초다.
국내에서는 '텀블벅', '머니옥션', '굿펀딩', '스토리펀딩', ' Makestar' 등 약 10여개 회사가 운영되고 있다. 국내 역시 초기 크라우드펀딩은 대출 형식의 '대출형'이 대부분이었지만 2011년 이후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됐다. 정부는 크라우드펀딩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올해부터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를 시행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개인에서 시작된 크라우드펀딩이 대기업, 정부의 노력으로 더욱 활성화되는 것은 반길 만한 일"이라며 "다만 투자받는 기업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 투자하는 자금에 대한 투명성 등을 확신할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을 좀 더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