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림청 ‘사유림 경영 활성화’, 산주 소득창출↑·방치 산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산림경영 전문 상담사 ‘산림플래너’의 양성 및 지원과 맞춤형 종합컨설팅 제공으로 산주의 산림경영을 확대하고 소득창출 기회를 넓히는 지원 방안이 추진된다.


산림청은 임업인과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도출한 결과물을 토대로 ‘사유림 경영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백년자원 산림, 돈 되는 임업’을 비전으로 하는 이 대책은 산림자원의 가치 증진과 현장에서 이뤄지는 산림경영의 역량 강화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세부방안은 ▲산주의 산림경영 참여 확대 ▲경제림육성단지 재설계 ▲국산 목재의 선순환 이용체계 확립 ▲청정 임산물의 6차 산업화 ▲산림생명자원의 이용 활성화 ▲체계적인 귀산촌 지원 ▲전문성 강화 및 관리역량 제고 등 7개 전략으로 집약된다.


산림청은 7개 전략을 토대로 산주가 산림의 효용성과 가치를 인식, 산림경영에 직접 나설 수 있도록 맞춤형 종합컨설팅을 실시하고 한국임업진흥원의 ‘산림정보 다드림(林)’ 확대로 산주와의 소통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또 산림경영 전문 상담사 ‘산림플래너’를 양성, 현장에 투입해 산주들의 산림경영 참여를 이끌어가는 동시에 경영상황 분석 등을 지원토록 할 예정이다.


그간 분산돼 있던 경제림육성단지를 재설계해 단지 내 조림과 숲 가꾸기, 임도 예산을 종합 추진하고 규모화 된 경제림 육성단지 조성으로 산림자원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여기에 국산 목재의 이력관리시스템 구축 및 활용으로 목재 자원의 선순환 이용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국산목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역별 특성화 목재산업단지 조성에 무게 추를 더함으로써 산주의 소득창출 및 증대를 꾀할 방침이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사유림은 우리나라 산림의 68%를 차지할 만큼 그 규모가 크지만 개별 산주들의 입장에선 지속적인 경영이 쉽지 않아 방치하기 쉬운 상황”이라며 “산림청은 이 같은 현장 상황을 감안해 사유림 경영 활성화를 꾀하는 차원에서 산주들이 임업으로 수익을 올리고 국가경제에 기여할 수 있게 하는 근간을 만들어 가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