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아라 인턴기자] 콘크리트 같은 결속력을 자랑하던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가 4·13 총선에서 참패한 후 균열 조짐을 보인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이번 총선 공천 때까지만 해도 당내 주류로 위세가 대단했던 친박 진영은 당내 책임론이 본격 제기되면서 일각에서 ‘희생양’을 찾으려는 조짐마저 보이자 잔뜩 웅크리는 모양새다.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20일 한 매체와의 통화에서 향후 벌어질 원내대표, 당 대표 경선과 관련, “친박, 비박 이런 것 없이 노(No) 계파로 가야 한다”면서 “친박 색채를 지우고 대통령한테 제대로 민심을 전달하겠다고 하는 후보에 승산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국회 초반만 해도 당청이 유기적이고 긴밀한 협조하에 돌아가야 한다는 이른바 ‘톱니바퀴론’을 제기했던 친박계이지만 상황이 달라졌다.
언론을 통해 당권 도전을 선언한 친박 핵심 이정현 의원은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진박이네 친박이네 하는 계파를 완전히 초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면서 “그러지 않으면 도로 새누리당으로 돌아가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이제는 새누리당 권력 투쟁 양상을 분석하는 주요 척도였던 ‘친박-친이(친이명박) 구도’가 10년 만에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지난 2006년 6월 당시 당 대표였던 박근혜 대통령이 대표직을 사임한 후 같은 해 9월 이명박 전 대통령과 경쟁을 벌였던 게 친박와 친이 대결의 시작이었다. 그러나 친이계는 사실상 명맥이 끊긴 것으로 보이며, 이번 총선에서는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마저 낙천한 후 야당에 패하고 말았다.
이로써 친박, 친이의 대결보다는 ‘친박 대 비박’ 구도로 당내 권력 투쟁이 벌어졌으나 이번 총선 이후 쇄신론이 분출하면서 계파 간 경계는 더욱 옅어지는 분위기다. 신박(新박근혜)으로 분류되는 원유철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추대를 막은 게 단적인 장면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탈박(脫朴·탈박근혜) 움직임에 대응해 임기 후반을 맞이하면서 친박계 결집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박근혜 정부의 탄생을 주도했던 세력이 현 정부가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도록 주도해야 한다”면서 “이는 계파를 떠나 책임 정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래야 보수 진영이 정권을 재창출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아라 인턴기자 joar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