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는 옛새우 신종 14종이 한강수계 등 국내 하천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안영희)은 국립생물자원관과 협업으로 추진한 ‘2015년 국내 하천 무척추동물 공동조사’를 통해 옛새우 신종 14종을 국내 하천의 혼합대에서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혼합대(hyporheic zone)란 하천에서 유입되는 지표수와 지하수가 만나는 구역으로 특히 자갈 또는 모래톱이 쌓인 곳을 가리킨다.
이번에 발견된 옛새우는 한반도 고유종으로 한강수계에서 6종, 낙동강수계에서 5종, 금강, 임진강, 강릉 임곡천에서 각각 발견된 1종 등이며, 모두 고하목 너도고하과 딴옛새우속(Allobathynella)에 속한다.
옛새우는 일반적으로 새우라고 알려진 갑각류 중 기원이 가장 오래된 무리로 지하수 또는 지하수가 스며드는 우물, 하천 등지에 살고 있다. 크기가 0.5∼2mm에 불과해 맨눈으로 보기 힘들며, 전세계에 약 300종이 알려져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옛새우가 혼합대 내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 또는 어떤 수질 조건에서 서식하는지는 세계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며 "일본 7종, 우리나라 2종 등 총 9종만이 보고되었을 정도로 희귀종으로 알려져 있어, 이번 발굴은 통해 우리나라 하천의 담수 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을 의미하는 동시에 학술적 의의도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1970년에 일본 학자 모리모토가 영월의 이름없는 동굴에서 발견하여 보고한 알로바티넬라 코리아나(Allobathynella. coreana)는 기준 표본의 실체가 불분명했는데, 이번 조사에서 확증표본이 처음으로 확보됐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 옛새우 신종 14종에 대한 학술명 등의 정보를 담은 논문을 세계적인 학술지인 ‘저널 오브 스페시스 리서치(Journal of Species Research) 3월호에 게재하여 국제 학계에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연구진은 옛새우가 속한 너도고하과 종이 이번에 발굴된 14종을 포함하여 최소 50종에 이를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나아가 우리나라 수계에 아직 밝혀지지 않은 담수 무척추동물이 2,000여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주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조사연구실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국내 담수 혼합대에서 옛새우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무척추동물이 살고 있는 것을 최초로 확인했다“며 ”이는 혼합대가 담수생물의 서식처로서 보전가치가 매우 큰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