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새는 물을 잡아라’, 누수탐지 기술의 특허출원 비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서울시 3.25%·경기도 6.67%·부산광역시 4.07%·인천광역시 6.62%…전라남도 25.35%·경북 24.85%·전북 22.76%’


국회 국토교통위 소속 신상진 의원(새누리당)이 지난해 수자원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확인되는 시·도별 평균 수돗물 누수율이다.

특히 지자체별 누수현황에서 전남 진도(50.44%)·고흥(51.90%)·완도(59.93%)와 강원 태백(58.25%) 등지는 정수된 수돗물 중 절반 이상이 사용되기 전 지하로 스며든다는 집계도 나온다.


이는 상수도관의 노후화로 생긴 누수현황으로 지난해 충남지역 등에서 두드러진 가뭄(물 부족)과 맞물려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했다. 반면 상수도관이 지하 깊숙이 매설돼 구간별 누수탐지가 쉽지 않은 점 등은 실정상 한계로 다가왔다.

하지만 최근 지하 상수도관 누수감지 기술의 특허출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누수율 감소에 일말의 기대감을 주고 있다.



3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2000년~2007년 사이 총 45건에 불과하던 지하 상수도관 누수감지기술 관련 특허출원은 2008년~2015년 총 83건으로 출원건수가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지역별 가뭄으로 생긴 물 부족 현상과 새는 물(누수율)의 증가로 인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나타난 결과물로 누수율을 줄이고자 하는 관리수요에 부응한 시장의 움직임으로도 풀이된다.


현재 특허출원 된 상수도관 누수감지기술 비중은 중소기업(47%), 개인(31%), 대학·연구소(14%), 대기업(8%) 등의 순으로 높게 집계된다. 또 전반적 추이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학·연구소의 출원은 증가하고 개인 출원은 큰 폭으로 감소하는 현황을 나타낸다.



누수탐지 기술의 센서 유형별 출원현황에선 수분에 의한 전기저항의 변화를 측정하는 도전센서(27%) 사용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이외에 음향센서(20%), 압력센서(15%), 진동센서(11%), 반사신호탐지(9%), 광섬유센서(7%) 등이 뒤를 이어갔다.


특허청 관계자는 “가뭄 등으로 인한 물 부족현상이 심화되는 현 시점에 상수도관의 누수는 ‘경제적 손실’과 ‘공공복지 저해’를 야기하는 사회적 복병이 된다”고 문제제기 했다.


그러면서 “지하 상수도관 누수감지 기술은 국내 중소기업 역량으로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분야”라며 “꾸준한 기술개발과 특허확보에 이은 상용화가 이뤄질 경우 국내 상수도관의 누수율을 저감하는 데 일조할 뿐 아니라 향후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시장 선점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2014년 우리나라에서 생산·공급된 수돗물의 총량은 62억1400만㎥으로 이중 유효수량(사용상 유효라고 인정되는 수량)은 55억1400만㎥으로 집계된다. 바꿔 말해 7억㎥(11%)가량의 수돗물이 지하로 새나간 셈이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