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쟁 뒤쳐질라'…제조기업 57% "신사업 검토단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0초

대한상의, 13대 수출산업 300개사 조사
응답기업 80% "검토·착수단계"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반도체·선박·철강 등 수출 주력산업에 속하는 기업 절반 이상이 신사업 추진 계획이 있지만 초기단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대 주력 제조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신사업 추진실태와 시사점'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21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업체의 66.3%는 주력제품의 수명주기가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답했다. 성숙기는 매출확대가 더디고 가격과 이익은 점점 떨어지는 시기를 말한다. 매출과 이익 모두 감소하는 쇠퇴기에 들어섰다고 답한 기업은 12.2%에 달했다. 반면 성장기로 인식한 기업은 21.5%, 새로운 시장이 태동하는 도입기라고 답한 업체는 한 곳도 없었다.

'경쟁 뒤쳐질라'…제조기업 57% "신사업 검토단계"
AD


업종별로는 컴퓨터(80%)·섬유(75%)·평판디스플레이(72.2%) 분야에서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쇠퇴기라는 응답은 선박(26%)·섬유(25%) 순으로 높았다. 대한상의는 "조선 등 노동집약적인 산업 뿐 아니라 기술력이 상향 평준화된 IT 산업까지 구조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는 의미"라며 "반도체·자동차 산업도 후발국의 추격과 시장변화가 빨라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런 환경에서 응답기업의 87%는 "신사업 추진에 나설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신사업 추진 분야는 기존 사업과 연관된 분야(45.7%)나 동일 분야(43%)를 계획하고 있는 기업이 많아 현재의 강점을 살리려는 경향이 강했다.


산업별로는 'ICT 융합'이 48%로 가장 많았으며 '신소재·나노'(28.6%), '에너지신산업'(26%), '서비스산업 결합'(9.7%) 등이 뒤를 이었다.'ICT 융합' 대상은 '사물인터넷·스마트홈'(43.9%), '드론·무인기기'(30.0%), '3D프린팅'(12.3%) 순이었다.


하지만 신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도 대부분 초기 수준에 그친 곳이 많았다. 신사업의 진행상황을 묻는 질문에 '가능성 검토단계'나 '구상단계'라고 답한 기업이 각각 56.6%, 9.3%으로 절반이상이 시작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기술력 확보 등 착수단계나 제품출기 단계라고 응답한 기업은 34% 수준에 불과했다.


대한상의는 "미국·일본 등 선진국 기업은 스마트로봇·무인차를 비롯한 혁신적 제품의 상용화를 적극 시도하고 있으며 중국도 산업경쟁력 강화는 물론 미래성장동력 창출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하고 있다"며 "신산업은 시장선점이 중요한데 우리는 아직 적극적 대응이 부족해 경쟁에서 밀릴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신사업 추진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으로는 절반 가량이 '불투명한 수익성'을 꼽았다. 관련 기술과 노하우가 부족하다는 응답과 장기전략이 부재하다는 기업도 각각 21.8%, 15.8%에 달했다. 불안요인으로는 '시장트렌드의 급속한 변화'(40.6%), '불확실한 대외여건'(39.6%), '해외선도기업의 기회선점'(8.9%) 등을 꼽았다.

신사업 추진을 앞당기기 위해선 무엇보다 '안정적인 자금공급'(26%)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규제개혁(20.5%)과 시장형성 및 선점을 위한 테스트베드 활성화(17.8%)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지난달 정부가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표한 신산업 투자지원정책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기업들이(92.8%)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신산업 진출 촉진방안에는 네거티브 방식의 규제심사를 도입, 연구개발(R&D), 인력, 금융·세제, 판로·입지 등을 집중 지원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정부 지원에 맞춰 투자를 확대할 분야로는 'R&D'(51.6%)를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고 '시설·장비 등 인프라'(37.1%), '해외시장 개척'(25.3%) 등이 뒤를 이었다. 신사업 전담조직을 신설하거나 확대할 의향이 있다는 기업도 64.7%로 나타났다.


전수봉 경제조사본부장은 "기업들이 신산업시장에 대해 수익성이 불투명하다고 느끼고 있는 만큼 규제를 풀어 투자욕구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금융·노동개혁을 이행해 사업환경을 개선하는 것과 동시에 규제를 정비해 기업 자율성을 높이는 등의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