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청년층, 10년 뒤에도 서울서 내 집 장만 '그림의 떡'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경제성장률·상용근로자 비율 5%씩 줄면 구매가능 주택 '40%'에 그쳐
"집값이 오르지 않아도 서울 집 절반 청년은 못 사"


청년층, 10년 뒤에도 서울서 내 집 장만 '그림의 떡' 아시아경제DB
AD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소득증가율이 둔화하고 정규직 취업률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면 10년 뒤 청년층이 서울에서 '살 수 있는 주택'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토연구원이 발간한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1∼2020년 경제성장률을 3.6%로 놓았을 때 2014년 기준으로 25∼29세인 청년이 10년 후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 숫자는 전체의 56.4%에 불과하다. 수도권에 사는 35∼39세의 소득을 월 342만9000원, 순자산을 1억453만원으로 두고 소득과 자산, 주택담보대출 등을 고려했을 때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이 3억8421만원이라고 추정한 결과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로 35∼39세가 구입 가능한 주택 비율은 경기는 83.7%, 인천은 96.1%였으며 비수도권(부담 가능 주택가격 3억5224만원)은 울산 87.5%, 대구 89.0%, 부산 92.0%, 광주 97.4% 등이었다.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면 청년층이 구입 가능한 주택의 비율은 급격히 줄어든다. 원래 추정보다 경제성장률이 5% 가량 둔화해 청년층의 소득증가율이 낮아지면 서울의 주택 가운데 35∼39세가 살 수 있는 주택은 47.8%에 그쳤다.


또 경제성장률이 둔화하는 것에 더해 상용근로자 비율이 5% 포인트 줄어들면 35∼39세가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이 3억3525만원으로 하락해 서울의 주택 가운데 46.4%만 살 수 있다.


특히 경제성장률과 상용근로자 비율의 하락과 더불어 월세가구 비중이 5%포인트 증가해 청년층의 순자산이 추가로 감소하면 35∼39세가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은 40.8%까지 떨어졌다. 이는 집값이 2014년 실거래가에서 오르지 않는다고 가정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로 청년층이 구매할 수 있는 서울의 주택은 '10채 중 6채'보다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이수욱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는 집값이 오르지 않아도 서울에 있는 집 가운데 절반을 청년이 살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주요 수요자인 청년이 접근할 주택의 안정적 공급이 없는 월세대책은 주택시장 회복에는 기여하나 안정에는 기여할 여력이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