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곳곳서 ICT산업 성장둔화 경고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인 정보통신기술(ICT)산업의 올해 성장이 기대치를 밑돌 것이라는 국책연구원의 경고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과 설비투자 확대 등 정부와 기업차원에서 선제적인 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16일 산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2016년 경제산업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산 휴대전화와 휴대전화 부품, 태블릿PC 등 정보통신기기의 수출은 전년 대비 2.9%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15년 기록했던 6.5%(잠정치) 증가에 비해 절반 가량 줄어든 수치다.

보고서는 신흥국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해외생산 확대 등을 정보통신기기 수출을 부진하게 만들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포화와 현지 업체의 강세, 기술장벽 약화, 제품 단가 하락 등을 우려할 사항으로 꼽았다.


보고서는 주력품목인 스마트폰의 수출시장이 포화에 이르고 제품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인도, 동남아, 아프리카 등 신규시장 개척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완제품의 해외 생산 비중이 커지는 만큼 고부가가치 핵심부품의 수출확대를 위한 경쟁력 제고 및 글로벌 수요처 확대에 대한 지원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ICT분야는 선점효과가 중요한 만큼 웨어러블 기기나 사물인터넷(IoT) 등 미래 유망분야에 대한 원천·핵심기술개발 지원, 신기술·제품 인증·평가체계 마련, 규제 해소 등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전략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국책연구소인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도 올해 우리 ICT산업에 대해 어두운 전망을 내놨다. KISDI는 최근 '한국 ICT산업 동향 및 추세 분석' 보고서를 내고 올해 우리나라의 ICT산업이 0%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KISDI에 따르면 한국의 ICT산업 생산은 미국 발 금융위기가 시작된 2009년 이후 변동성이 증가했고 장기 성장률도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특히 성장률의 장기 추세를 보면 2000년 이후 완만하나 뚜렷한 감소세가 관찰되고 있으며 2016년에는 사실상 0%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ICT 수출 역시 2013년 이후 증가폭이 꾸준히 감소하다가 2014년 이후에는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연구원은 ICT 산업의 성장 둔화 원인으로 장기화된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한 수출 및 내수의 동반 부진, 중국 ICT 기업의 약진으로 인한 국내 기업의 경쟁 심화 등을 꼽았다. 2010년대 들어 ICT산업 설비투자율의 증가율이 역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것도 크게 우려스러운 일로 평가했다.


주재욱 KISDI 연구위원은 "모바일 기반의 차세대 제품들을 중심으로 전세계 ICT 시장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설비투자가 부진한 것은 장기적으로 부정적 전망을 가져오는 요인"이라며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