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서울시가 저소득 가구나 청년층의 주거부담을 낮추기 위해 다가구ㆍ다세대 주택 1500가구를 사들여 임대해주기로 했다. 전체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데 수혜층을 세분화하고 일부는 공동생활공간을 따로 두기로 한 게 특징이다.
시는 11일부터 집을 팔기 원하는 다가구ㆍ다세대 주택 소유주를 대상으로 신청접수를 받을 예정이라고 6일 발표했다. 매입형 임대주택은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지난 2002년부터 이어져온 방식으로 지난해 말 기준 8827가구에 달한다. 보증금은 평균 1500만원에 월 평균 15만원 안팎으로 부담으로 길게는 20년까지 살 수 있다.
지난해까지 기초생활수급자 등 소득이 낮은 가구 위주로 공급했으나 올해는 청년층ㆍ1인가구 등 세분화했다. 청년 맞춤형주택으로 200가구, 저소득 맞벌이 가구나 노인층 등을 위해 250가구를 맞춤형주택으로 처음 공급하기로 했다. 소득수준 등에 따라 1ㆍ2순위로 나눠 입주자를 정했으나 3순위를 따로 뒀다.
맞춤형주택은 가구별 주거공간과 함께 커뮤니티시설 등 공동체생활공간을 함께 갖춘 공동체주택 형태로 공급된다. 공동체생활공간을 관리ㆍ운영하는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 비영리법인과 같은 조직을 따로 모집할 예정이다.
이밖에 쪽방이나 고시원 등 비주택시설에 사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게 200가구다. 절반인 100가구는 커뮤니티공간과 복지지원시설이 포함된 지원주택으로 공급된다. 이는 쪽방이나 여관이 오래 거주하는 주거취약계층의 건강문제 등을 상시적으로 관리하도록 전문가가 상주하는 개념이다.
또 대학생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희망하우징 형태로 150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마찬가지로 공동생활 공간이 포함되며 대학가 주변에 집중 공급된다. 지난해까지 부모가 무주택자일 때만 지원할 수 있었는데 올해는 집이 있어도 월 평균 소득에 따라 자격을 주기로 했다.
조립식 형태의 모듈러주택 30가구를 시범적으로 적용해본 후 만족도 등을 따져 향후 확대키로 했다. 공사기간이 평균 6개월에서 2개월로 줄어 매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에 시가 매입하는 주택은 기존 주택과 건축예정 주택이며 매도신청을 한 주택은 따로 위원회 심사를 거쳐 서울시 SH공사와 매입계약을 맺는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다양한 유형의 저소득 가구에 다양한 방식으로 싸게 임대해 주거불안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