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AI, 수리온 1대 산림청 납품…"정부의 막대한 외화유출 방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자체 개발한 수리온을 처음으로 산림청에 납품한다.


KAI는 7일 산림청 산림항공본부의 '다목적 헬기 구매사업'에 수리온이 선정돼 조달청과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금액은 205억원이며, KAI는 2017년 말까지 수리온 산림청 헬기 1대를 산림청에 납품한다.


수리온 산림청헬기는 진화, 인명구조, 구호품 수송 등 다양한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첨단 장비들이 추가 장착된다.

2000리터(ℓ) 이상의 소화수를 담을 수 있는 배면물탱크를 비롯해, 산악지형에서 신속한 인명구조를 위한 외장형 호이스트(hoist), 해상 임무수행을 위한 비상부유장비 등이 추가된다.


한국형 디지털 전자지도와 지상충돌경보장치 등도 탑재돼 야간 및 악천후 환경에서도 보다 원활한 활동이 가능하다.


국내 정부기관 중 가장 많은 헬기(45대)를 운용하고 있는 산림청이 국산 헬기를 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까지 정부기관이 구매한 국산헬기는 산림청 1대, 경찰청(참수리) 4대 등 모두 5대다.


국내 정부기관들이 운용 중인 헬기는 100여대(산림 45, 소방 25, 경찰 19, 해경 17)로 수리온 개발 전 전량 외국산 헬기에 의존해 왔다.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 중 30대가 운용 중인 러시아 카모프사의 KA-32다. 1993년 러시아 경협차관 현물상환용으로 도입됐다.


KA-32는 배면물탱크 장착시, 비행속도가 148km/h로 제한된다. 이에 골든타임 내 산불 및 인명구조 현장에 도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수리온 산림청 헬기는 최대 260km/h로 비행할 수 있어, 골든타임 내 임무수행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KAI는 수리온급의 국내 산림 헬기 시장규모가 후속지원까지 고려할 때 1조8000억원 이상으로 분석하고 있다.


KAI 하성용 사장은 "국내 정부기관들의 국산헬기 도입 확대로 막대한 외화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됐다"며 "해외 고객들의 관심과 신뢰도 크게 높아지고 있어 수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