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당국회담은 8·25후속회담 성격…왕래 편의상 개성 낙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정부 "당국회담은 8·25후속회담 성격…왕래 편의상 개성 낙점" 26일 판문점 북측지역인 통일각에서 열린 당국회담 실무접촉에서 우리측 수석대표인 김기웅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오른쪽)이 황철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 부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통일부 제공)
AD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남북이 남북당국회담을 당초 예상됐던 서울이나 평양이 아닌 개성에서 열기로 한 것과 관련해 정부는 시간의 촉박성과 왕래의 번거로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12월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예약 문제와 오가는 교통편 문제들을 고려할때 좀 촉박하다는 판단이 섰다"며 "(북측이 제안한) 개성, 금강산, 판문점이 어디나 괜찮긴 한데 아무래도 교통, 왕래의 편의를 고려할 때는 개성이 적절하지 않았나 싶어서 (회담 개최장소가 개성으로) 결정된 것"이라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또 당국회담의 급이 차관급으로 정해진 것과 관련해 "8·25 합의에서 고위층 두 분의 회담이 있었고 그것을 이행하는 단계의 후속회담이기 때문에 차관급으로 모든 현안을 다 다룰 수 있겠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달 11일 개성에서 열기로 합의한 남북당국회담의 급에 대해서는 우리측이 차관급으로 하자고 제안했고 개최장소와 관련해서는 우리측은 당초 서울에서 개최하자고 제안을 했는데 북한이 왕래의 번거로움, 시간의 촉박성을 들어서 개성, 금강산, 판문점 등에서 회담을 하자고 제의를 했다.


앞서 전날인 26일 남북은 판문점 북측지역인 통일각에서 열린 실무접촉을 통해 다음달 11일 개성에서 차관급 당국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남북은 27일 새벽 발표한 공동보도문에서 "제1차 남북당국회담을 12월11일 개성공업지구에서 개최하기로 했다"며 "회담대표단은 차관급을 수석대표로 하여 각각 편리한 수의 인원들로 구성하고 회담의제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현안문제로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남북당국회담 개최를 위한 실무적 문제들에 대해서는 판문점연락사무소를 통해 협의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