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T, 첨단 재난안전 ICT 기술 선보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KT, 첨단 재난안전 ICT 기술 선보인다 KT 전시관 모습
AD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KT는 26일부터 28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안전산업박람회(K-Safety Expo)에 첨단재난안전ICT 기술을 구현하는 ‘GiGA Safety’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제1회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는 ‘안전한 나라, 행복한 국민’이라는 슬로건으로 국민안전처와 산업통상자원부, 경기도에서 주최하는 행사다. 지난해 발생한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생활안전, 방재, 보안, 교통안전 등 국가 안전 상황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마련됐다.


KT는 역량 있는 중소기업들과 협력해 ‘GiGA Safety’ 전시장을 마련했다. 가장 이목을 끄는 기술은 KT가 주사업자로 참여하는 국가 재난안전통신망 사업에 적용될 핵심 재난통신 기술인 PTT(Push To Talk, 그룹통신)와 D2D(Device to Device, 단말 간 직접통신) 기술이다.

PTT(Push-To-Talk, 그룹통신)는 재난 현장에서 구조요원 간, 구조요원과 지휘본부 간 음성뿐만 아니라 실시간 현장 영상을 공유함으로써 구조활동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재난통신기술이다.


D2D(device-to Device, 단말간 직접통신)는 재난 상황에서 침수, 파손 등으로 통신망이 제 기능을 못 하더라도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한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두 기술 모두 국제 표준화가 진행 중인 최신 기술로 특히 PTT는 PS-LTE(Public Safety LTE, 공공안전 LTE) 국제 표준 규격의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으로 KT가 국내에 첫선을 보인다.


KT는 이번 전시회에서 국민의 일상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안전 기술도 선보인다. 안전기술은 ▲지문인식 한 번으로 전기 충격기 사용과 GPS, 실시간 영상 촬영, 자동신고가 가능한 호신용 스마트폰 케이스인 ‘VOLT CASE’ 등이다.


KT는 작은 실수가 대형 인명사고와 재난피해로 이어지는 산업현장의 안전 확보를 위한 기술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이는 ▲기업전용 LTE 망을 구성해 통신품질뿐 아니라 보안까지 강화해 내부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Private LTE’ 서비스 ▲KT파워텔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여 일본 등 해외에도 수출 중인 LTE 무전통신 단말과 솔루션 등으로 산업체 안전 관리와 운영효율성까지 극대화했다.


KT는 국내 강소기업들과 함께 재난재해 시 골든타임을 지켜내는 재난안전 기술도 선보였다. 해당 기술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재난재해 현장의 구체적인 위치와 영상을 알려주는 JBT의 ‘재난안전플랫폼’ ▲어두운 곳에서도 PC나 스마트폰을 통해 물체의 움직임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아세이프의 ‘초저도카메라’ 등이다.


KT 공공고객본부장 송희경 상무는 “미래에는 ICT 기술이 든든한 재난안전 지킴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KT와 국내 우수 중소기업들간의 협력을 통해 재난안전 ICT 산업이 창조경제 활성화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