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 두달만에 당국회담 호응한 배경은?…김양건 나올지도 주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北 두달만에 당국회담 호응한 배경은?…김양건 나올지도 주목 지난 8월25일 새벽 무박 4일간의 남북 고위급 접촉이 극적 타결된 직후 홍용표 통일부 장관(왼쪽)이 김양건 북한 노동당 대남비서(오른쪽)과 악수를 하고 있다. 가운데는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사진 제공=통일부)
AD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두달 동안 남북 당국회담 개최를 위한 예비 실무접촉을 갖자는 우리측 제안에 무응답이었던 북한이 오는 26일 판문점에서 실무접촉을 갖자고 제의해 옴에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또 실제 당국회담이 개최될 경우 수석대표로 누가 나설지도 관심이다.

북한은 20일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에서 20일 북남당국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을 26일 판문점 우리측(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진행할 것을 제안하는 통지문을 판문점을 통하여 남조선 통일부에 보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우리 정부도 "북한이 당국회담 실무접촉에 호응해 온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힘에따라 예비접촉이 진행되고 이후 8·25합의 사항중 유일하게 남아있던 당국회담 개최 전망도 밝아졌다.

우리측은 지난 9월 21일과 24일, 10월 30일 세 차례에 걸쳐 북한에 당국회담 개최를 위한 예비접촉을 갖자고 제안했었다. 그간 이산가족 상봉행사 등이 진행됐으나 북한은 유독 당국회담에 대해서는 이렇다할 반응을 보이지 않았었다.


이처럼 당국회담을 위한 예비접촉에 북한의 수용이 늦어진 것은 북한 지도부 내부의 동요가 작용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최룡해 당중앙위원회 비서와 오일정 당중앙위원회 군사부장 등의 해임이후 북한 지도부 내부의 동요가 일정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예정대로 실무접촉이 열리면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금강산 관광 재개, 북핵 문제 등에 대한 의제와 당국회담의 규모, 장소, 시기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 당국자는 "예비회담이 열리면 당국회담 관련해서 남북관계 현안과 쌍방이 제기하는 문제들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실제 당국회담에 우리측 홍용표 통일부 장관의 상대로 나올 북측 수석대표가 누가 될 지도 관심사항이다. 이와 관련 정 실장은 "강석주 북한 당중앙위원회 국제 비서의 건강 악화로 최근 김양건 대남 비서가 국제 비서 역할까지 담당하고 있다"며 "김양건 비서가 당국회담에 나설지 주목된다"고 밝혔다.


정 실장은 "실무접촉이 개최되도 지난 2013년 6월처럼 남북한이 다시 당국회담 수석대표의 '격' 문제로 대립한다면 남북한 관계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