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노예 역할 품삯 ‘C등급’…충남대 교수회 “간선제 고집 명분 뭔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총장 직선제 폐지와 학생정원 10% 삭감 등 조공에 따른 결과는 '대학평가 C등급'. 대학, 교육부의 자발적 노예 역할·역사적 순리 거역 멈춰야 한다”


충남대 교수회가 교내 총장간선제 선출방식에 제동을 걸었다. 대학이 구성원들의 의사를 무시한 채 교육부 방침에 순응, 스스로 자율성을 억압하는 역사적 퇴행을 겪고 있다는 요지에서다.

교수회는 1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성명을 발표하고 대학의 총장간선제 선출 중단 및 ‘직선제 수용’을 주장했다.


교수회는 성명에서 “총장직선제를 실시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며 “대학은 헌법이 보장한 대로 학문 연구의 주체, 교육 주체의 뜻에 따라 자율적·민주적으로 운영돼야 하기 때문”이라고 직선제 실행에 당위성을 부여했다.

또 “古 고현철 교수의 희생은 우리에게 더 이상 (교육부의) 반학문적·반교육적 정책에 노예처럼 굴종해선 안 된다는 사실을 일깨웠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충남대를 포함한 대다수 거점 국립대 교수들은 합법적 절차에 따라 총장직선제 회복을 결의했다”며 “대학은 간선제 진행을 중지하고 민주적으로 결정된 직선제를 수용해야 한다”고 일침했다.


충남대 외에도 전국 대다수 국·공립대는 최근 총장 선출방식을 두고 대학 대 구성원들 간 갈등양상을 형성하고 있다.


지난 8월 작고한 부산대 고현철 교수의 유지(遺志)가 간·직선제를 둘러싼 대학가의 갈등에 단초를 제공하면서다. 이 와중에 부산대는 지난 17일 직선제를 통한 총장선거를 치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교수회는 “충남대는 ‘총장직선제’라는 역사적 순리를 거역함으로써 전국 국립대 구성원들로부터 지탄을 받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충남대는 교육부의 자발적 노예 역할을 자임, 구성원들에게 고통을 안기면서 총장직선제 폐지와 10%의 학생정원 삭감이라는 조공을 바쳤다”며 “하지만 우리에게 돌아온 것은 대학평가 ‘C등급’이라는 치욕 뿐 이었다”고 비소했다.


그러면서 “현재 진행 중인 간선제가 당초 계획대로 강행된다면 충남대의 앞날은 불 보듯 빤한 결과를 얻게 될 것”이라며 “대학은 지금이라도 간선제 진행을 중단하고 구성원들이 민주적 절차에 따라 총장을 선출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대학은 이달 초 교내 학무회의를 통해 총장 후보자 선정에 관한 규정 일부를 개정, 간선제를 통한 차기 총장선출 방식을 확정했다.


이어 지난 6일~16일 사이에는 총장후보 모집기간 중 총 4명의 교수로부터 총장 후보자 접수를 완료했다.


또 내달 4일 대학 총장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최종 후보자를 선정하고 같은 달 21일 이내로 교육부에 총장 후보자를 추천할 계획이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