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용 상승이 부른 중국 성장 둔화, 단기 반전 어렵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아시아경제 정준영 기자] IBK투자증권은 중국의 기조적인 둔화 요인이 생산성 하락에 있다고 진단하며 단기간내 반전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중국 5중전회 폐막 이후 중국 경제 성장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우리 수출의 30%, 무역수지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교역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투자자들의 관심은 당연하지만 논의가 단기 이슈에 집중되고 구조적 요인과 단기 순환적 요인이 뒤섞이고 피상적이라는 것은 아쉬운 대목”이라면서 “구조적 측면에서 중국의 기조적 성장 둔화 원인이 정립되어야만 중국 정부 정책 방향에 대한 효과나 향후 중국 경기 방향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 판단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IBK투자증권은 중국의 기조적 성장률 하락 주 원인이 투자 부족이 아니라고 봤다. 정 연구원은 “투자의 형태나 업태가 바뀌었을 수는 있지만 중국에서는 여전히 지속적이고 공격적으로 투자가 일어나고 있고 가장 큰 투자 주체는 정부”라면서 “중국 정부의 투자정책이 공격적으로 바뀌면 중국 성장률이 상승할 것이라는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는 근거가 미약하다”고 지적했다. 5중전회에서 제시된 여러 정책 목표들도 향후 중국의 기조적 성장 둔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다는 이야기다.


IBK투자증권은 중국의 성장 둔화 원인을 비용 상승에 따른 생산성 둔화로 짚었다. 중국 생산비용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4조 위안의 대규모 부양책 실시 등으로 급증했다. 이는 기업 입장에서 보면 수익성 악화로써 민간 부문 투자 둔화와 기업 부실 증가를 의미한다. 문제는 요소생산성의 개선이 어렵다는 점이다. 정 연구원은 “중국 국책연구기관들은 중국의 루이스 전환점(임금 상승 없이 농촌지역 잉여노동력이 완전 흡수되는 시점)을 대체로 2017~2018년으로 전망한다”면서 “중국 생산비용 상승이 내년 이후 더 가파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로 이를 상쇄할만한 수요 증가가 없다면 생산성은 지속 하락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정 연구원은 “중국 생산성이 단기간에 반전되는 요인이 아닌 기조적으로 하락하는 흐름이라면 이에 맞춰 눈높이를 조정해 가는 것이 현명하다”면서 “중국 정부가 제시하는 성장률은 정치적 의미일 뿐 구속력 있는 수치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적극적인 수익 추구보다 안정적인 관리가 중요한 국면이므로 제한적 반등이라는 중립적 견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준영 기자 foxfur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