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에릭 슈미트 "한국 경제 둔화…유연한 규제 필요하다"

시계아이콘01분 5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에릭 슈미트 알파벳 회장, 국회 테크토크 참석
슈미트 회장 "한국에서 다양한 실험 할 수 있도록 규제 만들어나가야"
'머신 러닝' 강조…"기술이 인간을 더 자유롭게 만들 것"


에릭 슈미트 "한국 경제 둔화…유연한 규제 필요하다" 에릭 슈미트 알파벳 회장(가운데)이 민병주 의원(좌), 정호준 의원(우)이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한국의 경제가 둔화되고 있는데, (정부는) 더 유연한 규제환경을 채택해서 창의력을 발산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


에릭 슈미트 알파벳 회장이 한국인들의 창의성과 ICT 인프라, 교육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연한 규제환경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29일 에릭 슈미트 회장은 오후 5시 국회 의원회관에서 민병주 의원과 정호준 의원이 주최한 '에릭 슈미트와 함께하는 테크토크'에 참석했다. 이날 민병주 의원과 정호준 의원은 구글이 개발중인 무인주행차, 한국의 규제환경, 알파벳 조직 개편 등에 대해 질문했다.


슈미트 회장은 한국의 생산·제조 능력이 뛰어나지만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규제를 유연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꼬집었다.


슈미트 회장은 "한국은 미국에 비해 규제의 유연성이 낮고, 한국에서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규제를 만들어나가야 한다"며 "예를 들면 특정 도시를 골라 다른 도시에서 시도할 수 없는 것을 할 수 있게 만드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화해서 설명하자면 그동안 미국에서 발명이 이뤄지면 한국에서 제조하고, 중국에서 대량 생산하는 길을 밟아왔는데 앞으로도 그런 틀을 따르게 될 것"이라며 "한국인들이 제조와 생산 능력이 매우 뛰어나고 창의력을 발산할 수 있도록 훨씬 더 유연한 규제환경을 채택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개인 컴퓨팅과 인터넷, 모바일의 시대를 지나 앞으로는 '머신 러닝'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머신러닝이란 컴퓨터 알고리즘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스로 학습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말한다. 슈미트 회장은 이를 '컴퓨터를 통해 인간이 더 똑똑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5년간 모바일 퍼스트가 화두였지만 변화 속도가 몇년간 더 빨라지고 있다"며 "혁신적인 기술들이 산업과 사회를 바꾸어 나갈 것이며 머신러닝으로 인한 혁명은 이제 막 시작됐다"고 말했다.


구글은 머신 러닝 기술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무인주행차 '구글카'가 대표적인 사례다. 컴퓨터가 실시간으로 언어를 통역해주고, 사진을 보면서 일조량을 곧바로 계산하는 미래가 머지 않았다고 그는 설명했다.


슈미트 회장은 "머신 러닝은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더 똑똑하게 만들 것"이라며 "사진을 올리면 기계는 이것이 무엇을 찍은 것인지 알아차리고, 의사보다 더 나은 진단이나 분석을 내릴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머신 러닝 등 신기술이 도입될수록 지루한 업무는 기계가 대체하고, 인간을 자유롭게 만들 것이라고 그는 예상했다.


그는 "한국의 교육 모델과 인재, 규율이 기계가 가져다주는 효율성과 만나면 긍정적인 미래가 전개될 것"이라며 "기술들이 지루한 업무를 대체하면 인간은 흥미롭고 창의력 넘치는 일에 집중할 수 있으며 한국의 교육모델과 인재, 젊은이들의 속성과도 잘 맞는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구글은 최근 지주회사 체제로 개편해 기존에 수익을 냈던 검색, 안드로이드, 유튜브 같은 인터넷·모바일 서비스 운영 외에 신사업에 투자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슈미트 회장은 조직이 바뀌어도 투자 기조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슈미트 회장은 "구글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사람들이 한번쯤 고민했던 문제일 것이고, 예를 들어 건강이나 교통, 통신, 통역 등이 있다"고 했다. 이어 "구글이 성공적으로 사업을 영위하면서 발생하는 수익이 있고, 시도하기 어려운 분야에 과감히 투자하면 주주의 이익으로 이어진다"며 "구글카가 어려운 사업이지만 이부분에서는 우리가 리더이고 성공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슈미트 회장은 구글의 서비스가 '개인비서'처럼 발전했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내비쳤다. 그는 "가장 관심있는 분야는 구글이 스스로 더 똑똑해 지는 것"이라며 "구글이 미래를 예측하거나 누군가를 만날 때 주의사항 등을 조언해줄 수 있는 개인비서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한 구글은 구글카와 구글글래스 등을 개발하고 있지만 하드웨어 제조는 파트너사에 맡기고, '소프트웨어'에 집중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슈미트 회장은 "구글의 핵심 역량은 소프트웨어와 파트너사이며, 구글카를 생산하는 시설을 자체적으로 만들기보다는 더 좋은 파트너를 찾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