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내면세점 '기회의 땅'…총수 지갑까지 열었다(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8초

시내면세점 '기회의 땅'…총수 지갑까지 열었다(종합) (왼쪽부터)최태원 SK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AD


롯데·두산·신세계, 시내면세점 유치 위한 돈 풀기 나서, SK는 오늘 청사진 발표
대기업 총수들의 자존심 대결로…성장성 높아 꼭 잡아야 되는 '노른자위'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 김현정 기자]'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100억원,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 100억원'

이르면 다음주 예정된 시내면세점 특허 발표를 앞두고 유치 경쟁에 나선 재벌 총수들이 사재까지 출연한다. 신세계는 5년간 27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나섰고 SK는 오늘(27일) 시내면세점을 유치하기 위한 청사진을 내놓는다.


시내면세점 경쟁이 대기업 총수들의 자존심 경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롯데와 두산은 사재까지 털며 점수따기에 나섰고 모두 상생과 사회공헌을 내세우며 여론전을 펼쳤다. 총수들까지 면세점 경쟁에 뛰어든 이유는 그만큼 시내면세점 성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돈이 되는 곳에 올인하겠다는 얘기다.

국내 유통기업들이 경기 침체로 매출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반면 시내면세점의 외형은 매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독과점 문제 등으로 신규 대형마트나 백화점 출점이 어려운 상황에서 면세사업이 외형성장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롯데면세점의 경우 2012년 3조2000억 규모였던 매출이 2013년 3조6000억원, 지난해 4조2000억원으로 매년 수천억씩 늘었다. 호텔신라가 운영중인 신라면세점도 같은기간 1조9018억원, 2조864억원, 2조6122억원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해외 진출을 위한 포석의 의미도 있다. 현재 국내 시내 면세점의 외국인 비중은 60~70% 수준. 이들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면 해외 진출 측면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중국 뿐 아니라 홍콩, 대만 등 다양한 아시아 국가의 쇼핑객들이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면세점을 통해 브랜드를 체험케 하는 것이 해외 유통시장에 진출하거나 진출 후 사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의 주효한 마케팅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협상력 강화 차원에서 기존 주력 채널인 백화점 사업과의 연계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면세사업을 확장하면 면세점과 백화점 내 입점 조건, 물량, 단가에 대한 협상력이 커지게 된다. 이를 통해 기존 백화점의 매출 부진을 보완하고, 백화점 자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복안인 셈이다.


시내면세점 '기회의 땅'…총수 지갑까지 열었다(종합) .


특히 세계 면세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국내 면세점시장에 진출하면 그만큼 글로벌 위상도 높이게 된다. 김대진 KDB산업은행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 최근 발표한 '면세점 시장의 주요 이슈 점검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말 기준 한국 면세점 시장규모는 세계 1위다. 이어 중국 2위, 홍콩 5위, 일본 12위 등 아시아 주요국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1위인 한국이 차지하는 세계 면세시장의 점유율은 10%다. 중국은 2010년 4위에서 2013년 2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 면세점은 대기업들로서는 기회의 땅인 셈이다.


다만, 5년마다 사업자를 새로 선정해야 하는 국내 관세법은 성장의 걸림돌로 꼽힌다. 지난 2013년 관세법 개정에 따라 면세 사업권의 특허기간은 10년에서 5년으로, 갱신방법은 자동에서 경쟁입찰로 바뀌었다. 업계 관계자는 "사업 초기 대규모 자본과 인력이 필요하지만, 5년마다 사업권을 잃을 수 있다는 위험을 부담해야 한다"면서 "우리나라 관세법은 면세사업을 키우기 위해 제도를 완화하는 세계적 흐름에 역행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김대진 연구위원은 "면세점 시장 활성화를 위한 구매한도 및 면세한도 상향 등 법적ㆍ제도적 지원검토가 필요하다"며 "내국인 출국장 면세한도는 600달러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720달러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소ㆍ중견기업에 대한 면세산업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국내 기업 제품을 면세점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부차원의 관광객 유치를 위한 비자정책 및 관광산업 촉진도 전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