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은행 해외점포 성장세 둔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강구귀 기자] 연평균 12% 이상 증가하던 해외점포 자산규모가 올 상반기에는 3% 증가에 그쳤다. 당기순이익 증가율도 1.1%에 불과했다.


금융감독원이 26일 발표한 ‘국내은행 해외점포 영업현황 및 감독방향’에 따르면, 올 6월말 기준으로 국내 은행은 37개국에 163개 국외점포를 운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7개 점포가 신설됐지만 6개 점포가 폐쇄됐기 때문이다. 이 중 2개는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합병으로 인도네시아·중국 현지법인이 통합된 것이다.

총자산 규모는 894억1000만달러로 2014년 말 대비 25억7000만달러 늘었다. 한 해 동안 3.0% 늘어났지만 증가폭은 전년(11.6%)보다 크게 줄었다. 중국과 베트남의 자산이 각각 3억1000만달러와 3억4000만달러 늘어난 반면, 일본은 국민·우리·기업은행의 도쿄지점 부당대출 사건 이후 영업부진이 지속되는 데다 엔화가치가 하락하면서 10억4000만달러가 줄었다.


시중은행들은 상반기에 베트남 호찌민, 인도 첸나이·뉴델리, 캄보디아 프놈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멕시코 멕시코시티, 가나 아크라 등 7곳에 지점이나 사무소를 신설했다. 소재지별로는 아시아 지역이 108개로 전체 해외점포의 66.3%를 차지했으며 유럽(22개)과 북미(20개)가 각각 13.5%, 12.3%로 뒤를 이었다. 중국 해외점포는 6월 말 기준 14개로 지난해 말보다 1곳 줄었다.


국외 점포의 당기순이익은 3억7760만달러였다. 이는 전년대비 420만달러(1.1%) 증가한 수준이다. 중국점포는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증가하고 순이자마진율(NIM)이 하락하면서 당기순이익이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해외점포 자산규모 증가가 둔화한 것은 해외점포 총자산의 25%를 차지하는 중국경기가 둔화하면서 해외점포들이 리스크 관리에 나섰기 때문이다”며 “진출국의 경기둔화에 해외점포들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감독을 강화하는 한편, 해외점포 관련 불필요한 신고와 보고의무를 폐지하는 등 규제를 지속적으로 완화해 해외점포가 현지영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구귀 기자 ni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