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천경자 화백 '미인도' 풀리지 않은 미스테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천경자 화백 '미인도' 풀리지 않은 미스테리 천경자 화백 별세. 사진=MBC 뉴스화면 캡처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천경자 화백이 두 달 전 별세한 것으로 알려지는 가운데 고인의 대표작 '미인도' 논란이 다시금 재조명되고 있다.

'미인도'위작 논란은 1991년 4월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한 천경자의 작품에 대해 작가가 직접 위작 의혹을 제기하면서 시작됐다.


'미인도'는 나비가 앉은 여성 인물화로, '꽃과 여인의 화가'로 불리는 천 화백의 대표작이다.

이 작품의 아트 포스터(복제품)를 본 친지에게서 "복제품이 이상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천 화백은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던 작품과 복제품을 검토해 자신의 그림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술관 측은 그림의 제작연도부터 소장 경위 등을 추적해 진품이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미술관 측은 천 화백에게 "고령의 나이로 자신의 작품마저 헷갈려한다"는 모욕적인 언사를 내뱉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천 화백은 "자기 자식을 몰라보는 부모가 어디 있느냐"고 항변하며 "창작자의 증언을 무시한 채 가짜를 진품으로 오도하는 화단 풍토에선 창작 행위 자체가 아무 의미가 없다"며 붓을 놓고 큰 딸이 있는 미국 길에 올랐다.


그러나 1999년 고서화 위작 및 사기판매사건으로 구속된 위조범 권모씨가 "화랑을 하는 친구의 요청에 따라 소액을 받고 달력 그림 몇 개를 섞어서 '미인도'를 만들었다"고 자백하며 위작 시비가 다시 불거졌다.


이에 대해 국립현대미술관 측은 "미인도는 진짜이며 현대미술관이 현재 소장하고 있다"면서 "한국화 위조범과 현대미술관 중 어느 쪽을 믿느냐"고 반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미 공소시효가 만료된 상태라 수사가 어렵다"는 입장을 표명해 현재도 이 사건은 미제로 남아있는 상태.


한편 '미인도' 위작 논란으로 논란을 겪은 천 화백은 지난 2003년 뇌출혈로 쓰러진 후 거동을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두 달 전 별세했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