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천경자 화백 별세…과거 절필 선언하게 한 '미인도' 위작 사건은 무엇?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천경자 화백 별세…과거 절필 선언하게 한 '미인도' 위작 사건은 무엇? 천경자. 사진=MBC 영상 캡처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천경자(90) 화백이 별세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과거 그가 한국에서 절필을 선언하게 한 '미인도' 위작 사건이 재조명되고 있다.

지난 1991년 4월 천 화백은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한 '미인도'를 아트상품으로 판매하는 과정에서 "작품이 이상하다"라는 말을 지인으로부터 들었다.


이에 바로 작품을 검토한 천 화백은 머리를 검게 개칠(改漆)하지 않으며, 머리에 흰꽃을 그린 적이 없으며, 어깨위의 나비도 그린 적이 없고, 작품년도 숫자도 아라비아 숫자가 아닌 한자로 표기하고, 결정적으로 자기그림에 느껴지는 혼이 담겨있지 않다는 사유로 국립현대박물관이 소장한 '미인도'가 위작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립현대미술관 측이 "진짜 천 화백의 작품이 맞다"고 주장하며 미술 전문가들과 온갖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해 '미인도'가 천 화백의 작품이 맞다고 판정했다. 이 과정에서 국립현대미술관 측은 천 화백에게 고령의 나이로 자신의 작품마저 헷갈려한다는 모욕적인 언사를 내뱉은 것으로 알려졌다.


분노한 천 화백은 "내가 낳지도 않은 자식을 남들이 맞다고 하면 어떡하냐"며 "붓 들기가 두렵다"라며 절필을 선언하고 그해 4월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 논란은 1999년 고서화 위조혐의로 구속된 권춘식 씨가 "친구 요청에 따라 미인도를 위조했다"고 진술함으로써 다시 불거졌다.


그러나 권 씨의 주장에 대해 국립현대미술관 측은 주장을 굽히지 않으며 "위조범과 국립현대미술관 중 어느 쪽을 믿느냐"며 "틀림없는 진품"이라고 주장했고, 경찰은 "이미 공소시효가 만료된 상태라 수사가 어렵다"는 입장을 표명해 현재도 이 사건은 미제로 남아있는 중이다.


한편 천 화백은 1991년 4월 미국으로 건너간 뒤 미국 뉴욕 맨해튼에 있는 큰딸 이씨 집에 머물러왔다. 2003년 뇌출혈로 쓰러진 후 거동을 하지 못하다가 지난 8월6일 타계했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