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선주전자, 일부 제품 표시 소비전력 기준 초과…일부는 구조적으로 미흡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물 끓이기 성능 등 차이…제품 구조ㆍ보유기능 등도 면밀히 살펴야


[아시아경제 최서연 기자] 무선주전자는 전기로 간편하게 물을 끓일 수 있는 제품으로, 편리성으로 인해 가정 내 필수 가전제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가전제품 중 저렴한 편에 속하고 매년 새로운 제품이 출시돼 종류가 다양하지만 제품 간 품질 차이를 알 수 있는 품질비교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12일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제품 선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주전자 10개 업체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관심이 높은 물 끓이기 성능, 소비전력, 구조 등의 품질 및 안전성 등을 시험ㆍ평가한 결과를 발표했다.


시험결과, 핵심성능인 물 끓이기 성능에서 제품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제품은 표시된 소비전력이 허용차 기준을 초과하거나 내부마감 처리가 미흡했다. 누전 및 감전의 위험여부를 확인한 결과, 전 제품이 이상 없었다.

무선주전자는 커피나 차 등을 마시기 위해 물을 간편하게 데울 수 있는 제품이므로 물이 빨리 끓어야 우수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제품에 따라 2분53초~3분 56초 수준으로 최대 1분 이상 차이가 있었다. 필립스(HD9300), 테팔(KI1404, KO2701), 보국전자(BKK-177S) 제품이 3분 이하로 소요돼 상대적으로 빠른 수준이었다.


세신퀸센스(QSK-DW120)와 신일산업(SEP-KE170) 제품은 표시된 소비전력과 실제 측정한 소비전력과의 차이가 -10 %을 초과해 허용차 기준(-10∼5%)에 부적합했다.


물을 끓일 때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는 제품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제품별로 1회 사용 시 101~111 Wh 수준으로 최대 10 Wh 차이로 유사하고, 전기요금으로도 미미한 수준이었다.


테팔(KI1404) 제품은 내부 마감이 날카로워 손을 넣어 청소할 경우, 손을 다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신일산업(SEP-KE170) 제품은 내부 끝마무리 처리가 일부 누락돼 날카로운 부분이 남아있었다. 이에 테팔과 신일산업 모두 추후 구조 개선과 보완의 뜻을 밝혔다.


외부재질이 플라스틱인 제품에 비해 스테인리스 제품은 표면온도가 최대 95℃ 이상 올라가기 때문에 표면을 만질 경우 화상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했다. 전제품이 누전 및 감전의 위험이 없었고, 15도 기울어진 면에서 전도되지 않았다.


전기용품안전기준에서는 손잡이에 대한 표면온도만 제한하고 있으며 시험대상제품은 모두 이 기준에 적합했다.


제품에 따라 작동확인램프, 뚜껑 열림 방식 등 보유기능에 차이가 있었으며, 남양키친플라워(GVK-H171G), 세신퀸센스(QSK-DW120) 제품은 본체 무게가 900g이 넘어 상대적으로 무거웠다.




최서연 기자 christine8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