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연말까지 금리인상" 옐런 입김, 韓 금융시장 앞날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옐런 "올해 말까지 금리인상 기대한다" 발언으로 10 12월 금리인상 유력시…한은 금리인하 어려워

"연말까지 금리인상" 옐런 입김, 韓 금융시장 앞날은? 자넷 옐런 연준 의장
AD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연내 금리인상 의사를 또 한번 타진했다. 10월이나 12월 인상이 확실시되면서 우리나라의 통화ㆍ 환율정책도 대응도 맞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옐런 의장은 24일 미국 매사추세츠 주 애머스트에 있는 매사추세츠대에서 열린 강연에서 "올해 말까지는 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글로벌 경기 둔화와 관련해 "미국의 금리 인상 계획을 바꿀 정도로 중요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이르면 다음달 인상도 가능하다고 내다보고 있다. 김문일 유진투자선물 연구원은 "지난번 기자회견에선 중국과 신흥국을 주시하겠다고 했는데, 어제는 해외상황이 연준에 미칠 영향이 크지 않다고 했다. 입장이 선회한 것이어서 아무래도 10월 인상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12월에 인상할수도 있지만 연말이다보니 유동성이 부족해 가격변동성이 확대될 리스크도 있기 때문에 10월 인상가능성이 더 클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은 더더욱 낮아졌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요한 건 금리가 올라가는 시대가 개막했다는 것"이라면서 "가계부채가 늘고 좀비기업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번 더 금리인하를 단행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역시 지난 23일 경제동향간담회에서 "국감의 발언이 (금리인하에 대한) 통화정책 방향을 드러낸 게 아니다"는 작심발언을 통해 매파 기조를 드러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리인상 시점을 최대한 늦추면서 급작스러운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응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외환건전성이나 펀더멘털 측면에서 자금이탈 우려는 크지 않지만 환율이 급등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면밀히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태준 동덕여대 교수는 "우리가 대처할 수있는 방법 중 하나는 당분간 금리인상을 자제하면서 환율 상승을 용인해 대외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라며 "최근 신용등급 상향에서 보듯 외환상황이 건전하기 때문에 자본유출이 급격히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금리 인상이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만의 하나라도 불안심리가 커지면 갑자기 금융시장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다. 통화당국 외환당국이 모니터링하고 대응할 시스템이 갖춰져있다는 것을 시장참여자들에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