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스테이 안다"…10명 중 3명도 안돼

시계아이콘01분 2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전체 표본 2525가구 중 임차가구는 32.4%만 설문
가장 큰 장점은 '8년 장기 거주' 꼽아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정부가 중산층용 민간임대주택 사업으로 올 초부터 추진하고 있는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의 인지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지난 1월 뉴스테이 정책 발표 후 현재까지 홍보에 공을 들였고, 부동산 대책, 법 개정 등을 통해 수차례 언론을 통해 보도됐지만 정작 뉴스테이 사업에 대해 모르는 국민이 10명 중 7명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내용은 국토교통부가 최근 진행해 22일 발표한 '뉴스테이 관련 취향ㆍ선호 등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국토부와 토지주택연구원은 지난 7월27일부터 8월31일까지 한국갤럽에 의뢰해 수도권과 부산ㆍ대구ㆍ광주ㆍ대전 등 4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30~50대 2525명을 대상으로 뉴스테이와 관련한 면접조사를 진행했다.


◆"입주의향 있다" 29% 불과해=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뉴스테이를 알고 있다'는 응답은 28.2%에 그쳤다. 수도권 응답자 중에서는 29.7%가 '안다'고 답했고, 지방에서는 23.4%만이 이 사업을 알았다.


연령대별 '안다'는 응답은 30대가 28.2%, 40대가 27.8%, 50대가 28.8%로 나타났으며, 자가가구는 28.6%, 임차가구는 27.7%로 연령이나 주택 보유 유무와 상관관계는 없었다.


뉴스테이의 특징을 제시하고 얻은 설문결과에서는 '8년까지 장기거주가 가능하다'는 점을 가장 큰 장점으로 평가(35.9%)했다. '연 5% 임대료 상승제한'(16.3%), '누구나 입주가능'(16.3%)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뉴스테이에 '매우 입주하고 싶다'는 응답은 2.7%에 불과했으며, '다소 입주하고 싶다'는 답변은 26.3%로 나타나 '입주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29.0%에 그쳤다.


56.7%가 '입주의향이 없다'는 부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14.3%는 '보통'이라고 답했다. 입주여부와 관련한 부정적인 답변이 절반을 넘었지만 국토부는 응답자들이 부정적인 답변을 한 이유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반면 설문대상자 중 임차거주자의 45.0%가 '입주의향이 있다'고 밝혔고, 지역별로는 전세난이 심각한 경기도(34.3%)와 서울(33.2%) 응답자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전체 조사대상 2525명 중 뉴스테이의 주 수요계층인 임차가구 표본을 32.4%(817명)만 포함시키고, 자가가구 표본을 67%(1692명)나 구성하는 등 설문대상 선정에도 문제를 드러냈다.


◆잠재 수요자 평균 연령 46세, 전용 84㎡ 선호도 높아=국토부는 이번 조사에서 뉴스테이에 대해 '입주의향이 있다'는 응답자와 '보통'이라는 응답자를 더한 43.3%를 잠재 수요가구로 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46세, 평균 가구원은 3.2인이라고 밝혔다. 자녀와 함께 입주하고자 하는 가구 비중은 71.2%였으며 평균 자녀수는 1.8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전용면적 84㎡의 선호도가 38.2%로 가장 높았고, 59㎡ 19.5%, 72㎡ 16.9%순으로 선호했다.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43.3%), 자연환경이 쾌적한 곳(15.7%), 생활편의시설 이용이 편리한 곳(14.2%) 순으로 희망입지를 꼽았다.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싼 도시외곽의 선호도는 7.1%에 불과해 대부분 임대료가 비싸더라도 도심 내 거주를 희망했다.


희망하는 뉴스테이 주거서비스로는 비용부담 여부와 관계없이 세탁서비스, 파출부ㆍ부청소 등 지원서비스, 24시간 보안서비스 등을 선호했다. 비용부담이 없는 경우는 북카페를, 있는 경우는 피트니스센터를 희망했다.


국토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주택협회, 주택건설협회 등을 통해 관심있는 업체에 배포하고, 다음달까지 현장조사에 참여한 일부 대상에 정성적 조사를 병행해 연구를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