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공기관서 4년간 임금체불액 83억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최근 4년간 공공기관에서 근로자 5000여명에게 임금 83억여원을 체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민현주 의원이 6일 고용노동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1~2014년 총 68개의 공공기관이 근로자 5137명의 임금 83억1600만원을 체불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체불임금액 가운데 62억4800만원(75.1%)은 고용부의 지도 조치로 근로자들에게 늦게나마 지급됐으나, 나머지 20억6800만원(24.9%)은 결국 돌려받지 못해 검찰에 송치됐거나 법정 소송에 부담을 느낀 피해 근로자가 체불 임금받기를 포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임금체불 공공기관 68곳 중 한국철도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광해관리공단 등 임금체불액 상위 5곳이 전체 체불액의 78%를 차지했다. 이들이 체불한 임금은 65억18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코레일네트웍스는 4년 연속 임금을 체불했다. 2011년에는 근로자 1명에게 19만원, 2012년에 3명에게 총 217만원, 2013년 3명에게 총 1억3470만원, 2014년에는 195명에게 총 1억441만원의 임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한국철도공사는 2011~2013년 3년간 매년 임금을 체불했다.


민 의원은 "고용노동부의 감독으로 적발된 경우에는 법적·행정적 처벌이 뒤따르지만, 근로자들이 신고했을 경우 사업주가 시정조치만 하면 어떤 처벌도 받지 않기 때문에 이처럼 상습적 체불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행 근로감독관 집무규정상 임금체불 신고 사건은 매년 상습적으로 임금을 체불해 신고가 되더라도 사업주가 시정 조치만 따르면 아무런 처벌을 받지 않는다.


민 의원은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에서조차 매년 상습적 체불이 발생하는 것은 도덕적 해이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고용노동부는 신고사건도 적발사건의 처리 지침과 동일하게 맞추는 제도 개선을 하고 지도감독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