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TVㆍDTI 적용받는 주담대 중 절반은 '위험 대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이 적용된 주택담보대출 중 절반 이상이 위험한 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새정치민주연합 홍종학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LTV·DTI 동시적용(서울·경기·?인천) 주택담보대출 잔액 현황(2015년 6월말 기준)을 분석한 결과 담보인정비율(LTV)이 60%를 초과하거나 총부채상환비율(DTI)이 50%를 초과하는 ‘위험 대출’이 52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주택담보대출 100조2000억원의 52.4%에 달한다. 1년전인 작년 6월말 30조7000억원 보다도 21조8000억원(71.0%)이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올 상반기 기준 LTV·DTI가 동시에 적용되는 수도권 지역에서 LTV 60%를 초과한 대출 잔액은 총 42조5000억원으로, 1년전 20조9000억원보다 21조6000억원이 늘었다.


총부채상환비율(DTI)이 50%를 초과하는 대출은 19조7000억원으로, 1년전보다 5조원이 확대됐다. DTI가 50%를 초과한다는 것은 소득의 절반 이상을 빚 갚는 데에 할애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면 집이 있어도 가난한 ‘하우스 푸어’로 전락하기 쉽다.


특히 LTV 60%, DTI 50%를 동시에 초과해 위험이 중첩되어 있는 대출은 9조7000억원에 달했다. 이 역시 작년 6월말 4조9000억원보다 4조8000억원이 증가했다. 반면 LTV 60% 이내, DTI 50%이내인 안전대출은 작년 6월말 51조3000억원에서 올해 47조7000억원으로 오히려 하락했다.


홍 의원은 "LTV·DTI 대출의 52.4%가 위험한 대출이 되어버린 것은 최경환 경제부총리 취임 이후 LTV·DTI 규제완화 정책으로 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