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산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율·인구 증가율 가장 높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공공기관 92% 이전·계획인구 7000명 초과


부산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율·인구 증가율 가장 높아 혁신도시별 이전기관수·인구수
AD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지난 달 말 기준 부산 혁신도시가 공공기관 이전율(92%)과 계획대비 인구 증가율(112%)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혁신도시 건설통계를 발표했다.

혁신도시는 수도권과 세종·충남을 제외한 전국 10개 광역시·도에 1개씩 건설 중이다. 8월말 기준 115개 이전공공기관 중 86개(75%)가 이전했고 3만6명의 공공기관 직원이 이주했다.


혁신도시별 공공기관 이전현황을 보면 부산과 전북이 92%로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전남(88%), 대구(82%), 울산(78%) 등의 순이며 제주가 25%로 가장 낮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부산은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 입주하는 기관이 많고, 전북은 수원에 소재한 농촌진흥청 산하 기관(4개)이 동시에 이전함에 따라 이전율이 높았다"며 "제주도는 금년 10월에 본격적으로 이전 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혁신도시 인구는 2012년부터 공공기관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꾸준히 증가해 10개 혁신도시에 총 7만8973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 별로는 대도심 인근에 위치한 부산(대현지구)은 7819명으로 계획인구(7000명)를 초과했고, 기존 도심과 떨어져 있는 충북혁신도시(5783명)는 계획(4만2000명)대비 증가율(14%)이 가장 낮았다.


국토부는 부산은 직원 아파트를 저렴하게 분양하는 등 부산시의 파격지원이 큰 효과가 있었던 반면 충북은 수도권과 출퇴근이 가능해 가족동반 이주율이 낮아 유입 인구가 적었던 것을 원인으로 봤다.


이전공공기관 직원의 가족동반 이주율은 24.9%로 조사됐다. 전북(34.3%)이 가장 높았고 충북(16.7%)이 가장 낮았다.


지역인재 채용률은 2012년 2.8%에서 올해 11.9%로 대폭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지방대학이 많은 부산이 22.6%로 가장 높았으며, 제주도(0%)가 가장 낮았다.


공공기관 이전에 따라 지방세수도 꾸준히 증가했다. 공공기관 이전이 본격화된 2014년도 지방세 수입은 1976억원으로 전년 대비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사업이 본궤도에 오름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며 " 앞으로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마무리 되고,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를 통한 기업체 유치가 활발해지면 혁신도시가 지역성장의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